새마을-자총, MB 친위대化 목적은?

편집국장 고 하 승

시민일보

| 2009-03-29 14:16:08

MB 정권이 ‘제2 새마을운동’이라는 미명아래 친이계 재집권을 위한 포석을 깔았다.

이른바 ‘3대 신국민운동’이 그것이다.

실제 200만 회원을 보유하고 있는 새마을운동중앙회(이하 새마을)와 65만 회원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자유총연맹(이하 자총)이 지난 19일 행정안전부와 ‘3대 新국민운동’ 실천 협약을 체결했다.

3대 국민운동은 ‘공동체운동’, ‘국민의식 선진화운동’, ‘녹색생활운동’ 등으로, 모두 이명박 정부의 국가 운영 핵심 철학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즉 보수성향의 민간단체에 행안부가 정부차원에서 적극 지원한다는 것으로, 말은 그럴듯하지만 결국 새마을과 자총을 MB 전위부대 화 시킨다는 전략이다.

실제 이들 단체들은 범국민 사상운동을 전개하며, 사회 곳곳에서 이명박 정부의 국정운영 철학을 확산시킬 계획이라고 한다.

왜 하필 19일에 협약을 체결했을까?

이날이 바로 친이계 핵심 인사인 이재창 전 의원은 새마을중앙앙회 회장으로, 박창달 전 의원은 한국자유총연맹 총재로 각각 교체된 날이기 때문이다.

비근한 일례로 박창달 전 의원은 취임에 앞서 한 언론과의 통화에서 “MB정부를 성공한 정부로 만들기 위해 모든 지원을 다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니 이명박 대통령으로서는 이런 박 총재가 한없이 사랑스러울 수밖에 없을 것이다.

박창달 총재 취임식에 이명박 대통령이 축전을 보낸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이재창 새마을 회장의 생각도 크게 다르지는 않을 것이다.

한마디로 이 회장이나 박 총재 모두 ‘MB 지원’을 지상목표로 하고 있는 셈이다.

결과적으로 새마을과 자총은 친이계가 완벽하게 접수한 상태라고 보면 맞을 것이다.

여기에 친이 핵심 인사인 이달곤 행안부 장관이 정부 측에서 이들 두 단체의 지원을 담당하게 된 것이다.

사실 이는 엄청난 뉴스다.

그런데 이런 일이 은밀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을 아는 사람은 별로 없다.

이른바 ‘박연차리스트’와 ‘장자연리스트’로 온 세상이 떠들썩한 시점이기 때문이다.

국민의 시선이 모두 그쪽으로 쏠려 있을 때, 한 쪽에서는 이처럼 은밀하게 친이계 재집권 시나리오가 진행되고 있었던 것이다.

사실 ‘3대 신국민운동’은 지난해 연말 이명박 대통령이 전국새마을지도자대회에 참석해 언급했던 것을 그대로 실천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MB의 의지가 강하게 담겨 있는 운동이란 뜻이다.

대체 MB는 왜 이들 거대한 민간단체를 외곽 친위부대화 시키려는 것일까?

일종의 친이계의 재집권을 위한 포석이라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친이계 재집권을 위해 우선 강력한 차기 대권주자인 박근혜 전 대표의 우군 조직을 말살시키거나, 아니면 개조시켜야 한다.

그런데 새마을과 자총은 모두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이 만든 단체로 사실상 친박 조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친이 재집권을 위해 이들 단체를 친이화 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 MB 핵심 인사들을 그 수장으로 앉히고, 거기에 이들 조직을 관장하는 정부 부처인 행안부 장관까지 MB 핵심인사로 앉혀 서로 ‘똘똘’ 뭉쳐 친이 조직으로 탈바꿈하려는 것일 게다.

물론 ‘친박 말살’이라는 목적을 처음부터 드러내지는 않을 것이다.

이들 MB 전위대의 전략은 빤하다.

처음에는 ‘보수진영 결집’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좌파진영과 전쟁을 하는 것처럼 철저하게 위장할 것이다.

실제 이들은 “현 정권이 보수 진영의 결집 도모에 부족한 면이 있어, 측면 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공공연하게 말하고 있다.

그러면 이들이 우파결집을 통해 박근혜 전 대표를 차기 대권에서 지원하려는 것일까?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다.

이들의 친이 세력화는 ‘박근혜 죽이기’의 일환으로, 차기 대권에서 MB를 보호해 줄 수 있는 인물을 대권주자로 내세우기 위한 방편일 것이다.

친박연대 전지명 대변이 “한국자유총연맹 등 민간단체들이 본연의 활동 취지에서 벗어나 정치적 배경을 목적에 두고 활동하는 것은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말한 것도 이 때문이다.

민간단체는 그것이 보수든 진보든 상관없이 정부가 개입해 관변단체화 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

특히 차기대선에서 자신의 입맛에 맞는 사람을 대권주자로 내세우기 위한 전략이라면 일찌감치 포기하는 게 옳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