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약물중독 폐해 및 예방
김종태(계양서 형사과)
문찬식 기자
| 2009-05-25 08:34:27
경제불황의 장기화로 궁핍해진 서민생활을 보호하고 경제활성화를 위한 국정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현재 경찰에서는 ‘생계침해범죄 근절대책’을 연중 추진하고 있다.
또 실천과제로 4월1일부터 5월31일까지는 ‘민생침해범죄 소탕 60일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동 기간중에는 기존 강·절도, 조직폭력, 전화사기, 인터넷불법행위, 불법사금융 이외에 여성·아동 실종(납치)와 마약류 사범을 추가 지정해 7개 범죄를 대상으로 대대적인 단속을 하고 있다.
이 가운데 마약사범과 관련해 우리나라에서 1년에 검거되는 마약사범은 대략 1만명 정도, 비록 검거되진 않았지만 사회의 음지 어딘가에서 상습적으로 마약을 흡입하는 잠재 인구는 10만명으로 추산된다고 한다.
약물로 인해 뇌 손상이 있을 수 있고 언어장애를 초래하고 학업능력이 저하되며 성격은 공격적이 되고 인간관계 형성은 잘 되지 않는다. 한 보고에 의하면 중학생 8.6%, 고등학생 16.2%, 대학생 12.7, 근로청소년 20.8%, 청소년 범죄자 64%가 약물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다고 한다.
이처럼 날이 갈수록 청소년 약물 중독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반면 예방과 대처방안은 대단히 미흡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형사정책적, 제도적 마련 및 교육정책적으로도 교육기관에서 약물남용 폐해에 대한 조기교육이 필요한 실정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