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통합을 위해 정치권의 근본적인 반성이 필요한 때”
문수호
| 2009-05-28 14:05:13
한완상 전 통일부총리는 28일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 이후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국민통합 문제와 관련, “높은 사람일수록 백성들의 가슴 속에 들어가 역지사지해 민심의 눈물과 분노의 의미를 알아야 한다”며 정치권의 근본적인 반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 전 부총리는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통합을 위한 기반은, 이번 조문 행렬에 나타나는 민심의 향방과 성격을, 그들의 분노한 눈물의 의미를 깨달아야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 전 부총리는 “기술적인 차원에서 통합의 조건 몇 가지 해봐야 아무 소용없다”면서 “이를테면 검찰 총장이 사표내고 검사가 사표 낸다고 비극이 되풀이 안 된다고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통령이 각료, 청와대 사람, 정당 책임자들과 함께 근본적으로 자신들이 추진해온 정책적 목표와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적 수단들에 대해 기본적인 반성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현 정권의 실용주의 노선에 대해 “실용주의 같으면 수단 선택이 합리적이고 융통성이 있어야 하는데 이 사람은 친구고, 이 사람은 적이고 이렇게 나눠서 적이라고 인식되면 끝까지 쫓아내는 것이 과연 실용주의가 맞는가”라며 정부 근본적인 인식 전환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한 전 부총리는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자살이라고 폄하하는 일부 지식인들에 대해서는 “진실로 지식인이라면 어떤 비극적 사건의 현상 뒤에 있는 본질을 볼 줄 알아야 한다”라며 노 전 대통령의 서거는 빗나간 현실에 대한 하나의 저항이자 대항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그는 진보진영에 대해 “21세기 민중은 예의 계급적 성격이 별로 없다”라며 “민생들에게 피해와 불편을 주는 과격한 저항은 삼가야 된다”고 충고했다.
그는 “이를 테면 파업을 하면 권력층에게는 불편을 안 주고, 못사는 사람에게 고통을 준다”라며 자제를 요구했다.
그러면서 그는 “정부와 권력이 먼저 손 내밀고, 그것을 잡는 형식으로 다시 한 번 접속을 시도해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문수호 기자 msh@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