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쇄신 계파 시각차 뚜렷

친박 “조기전대보다 국정쇄신 먼저”

고하승

| 2009-06-09 11:54:39

친박 측은 “조기전당대회 보다 국정쇄신이 먼저”라는 입장인 반면, 충립 측은 “조기전대를 통해 국정쇄신을 이뤄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친이 측은 “조기전당대회를 통해 당내 화합을 먼저 이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한나라당 쇄신특위의 대변인을 맡고 있는 친박 김선동 의원은 9일 당내 쇄신 문제와 관련, 박근혜 전 대표의 대표설이 쇄신의 본질은 아니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른바 친박그룹 정점에 있는 박근혜 전 대표를 전면에 내세우느냐 내세우지 못하느냐가 관건인가’라는 질문에 “그 문제는 아니다”고 일축했다.

그는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의 진정한 화합과 국정의 동반자적 파트너십 복원이 근본적으로 중요한 문제”라며 “박근혜 전 대표가 당대표가 되느냐 안 되느냐의 문제는 별개의 차원이고, 논의를 일방적으로 몰아가면 오히려 문제해결에 여러 가지 장애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쇄신위가 조기전당대회를 거론하는 것에 대해 “지금까지 1년 넘게 정부와 여당이 함께 국정을 운영하면서 여러 가지 민심에 이반되는 국정행위가 사태의 원인이라는 것을 저희들이 인정 하는 것”이라며 “문제 해결에 있어 우선 바뀌어야 하는 건 국정쇄신 부분으로 사실상 청와대가 먼저 변해야 된다는 생각들을 많은 의원들이 공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친박계로 알려진 이정현 의원이 쇄신위에서 사의표명을 한 것과 관련, ‘이른바 친박계 의원들의 생각이 대부분 비슷하다면 조기전대라든가 지도부 사퇴라든가 이런 것이 1순위가 아니란 얘기냐’는 사회자 질문에 “그렇다”고 답변했다.

이어 그는 “당정청의 일대 쇄신이라는 추동력을 얻기 위해 당이 먼저 정치적인 책임을 인정하고 가자라는 취지에서 당 지도부의 쇄신 문제, 용퇴 문제를 합의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사회자가 ‘쇄신특위는 이른바 국정기조 쇄신, 문제에 더 진력하겠다는 뜻이냐’고 묻자 “그것이 옳은 방향”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당 지도부의 거취 문제나 조기전당대회 문제는 쇄신위 내부에서 아주 핵심적인 정치현안으로 논의 될 것 같지만 조기전당대회 문제가 국민이 바라시는 그 모든 것은 아니기 때문에 쇄신위가 국민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그리고 당정청의 1년 넘은 그런 과정들을 다시 한 번 반추해보고 반성 할 건 반성하고 또 변화할 것은 변화시킨다는 그런 관점에서 논의를 해나가야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화합형 전당대회 라는 것이 무엇인가, 박근혜 전 대표의 직접적 참여가 전제되어야 하는 것이냐’는 물음에 대해서는 “지금 모든 논의의 초점이 박근혜 전 대표의 참여 문제로 되어가고 있는 것 같은 인상을 지울 수가 없는데, 그것이 본질적인 상황은 아니다, 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박근혜 전 대표가 당대표 경선에 출마하느냐 마느냐 문제 이것 또한 본질인 것처럼 그렇게 몰아져서는 안 된다. 그게 문제의 원인도 아니고 출발도 아닌데 책임을 마치 강요하는 듯 한 이런 부분들이 서로의 진정성 부분에서 오해를 오히려 더 증폭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앞서 전날 같은 방송에서 ‘민본21’ 공동간사를 맡고 있는 중립 성향의 김성식 의원은 “조기전대는 필히 열려야 된다”고 강조했다.

김의원은 “4월 29일 날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이 0패한 이후에 국정기조의 전면적인 쇄신과 당정청의 인적쇄신 그리고 특별 조기전당대회를 비롯한 당의 정비를 강력하게 주장해 왔다. 그런 차원에서 저희는 현재의 지도부로는 쇄신과 화합의 물꼬를 틀수 없기 때문에 조기전당대회를 통해서 또 지도부의 용퇴를 통해서 국민과 당원들이 바라는 그러한 당의 쇄신과 화합의 길이 열릴 것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기전대 시기와 관련해서는 “8월쯤에는 이루어져야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그동안 한나라당은 당헌에는 당권대권 분리의 정신이 명시가 돼있고 대통령께서도 박근혜 전 대표와 함께 국정동반자관계를 약속했지만 잘 지켜지지가 않았다. 그러다 보니 1년여 지내면서 여권 전체의 시스템이 불협화음을 노정하고 또 국민들에게도 설득력 있게 다가가지 못했던 것이다. 그런 차원에서 이번에 그 문제를 해결하는 전당대회가 되어야 된다”고 강조했다.

친이 측 김성태 의원 역시 9일 ‘sbs 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당이 물리적으로 화합하기 위해서는 전당대회는 필수적”이라며 조기전대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을 표시했다.

다만 그는 “관건은 대통령이 당과 국정 동반자적 관계를 확립하는 것에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원희룡 쇄신 위원장이 화합형 대표 추대론을 얘기했는데, 박근혜 전 대표를 염두에 두고 한 말이냐’는 질문에 “그렇게 보는 게 맞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그는 “쇄신의 중심에는 당내 화합이라는 무게중심이 분명히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박희태 대표와 함께 쇄신파가 박근혜 전 대표의 설득에 나서느냐’는 물음에 “그런 노력들이 앞으로 6월말까지 쇄신특위의 정치일정에 가장 중요한 내용이 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친박 계에서는 김무성 원내대표 카드도 응하지 않았는데 수용할 리가 없을 것이다. 이를테면 소방수 역할은 할 수 없다. 이런 입장 아니냐’고 질문하자 “친박 계 의원들 입장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나올 수 있지만 무슨 의견이든 미리 전제를 깔고 가면 아무 일도 되지 않는다. 당의 진정한 화합을 위해서는 또 신뢰할 수 있는 전제조건을 만들어야 한다. 또 전제조건을 만들려고 하면 진정성에 의심이 간다. 이런 식으로 말의 잔치만 늘어놓으면 아무 것도 해낼 수 없지 않느냐. 과거지사는 다 덮어주고 진정한 당의 화합을 위해서 보다 진일보하는 그런 마음들을 가져야 한다”고 반박했다.

이어 그는 “앞으로 당의 진정한 화합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내용이 있다. 꼭 박근혜 전 대표를 당대표에 모시는 길만 전체적인 화합카드로 한정짓지 않고 여러 가지 카드가 있다. 국정 동반자로서의 국무총리직을 가지신다든지, 그리고 친박 계 인사가 당 대표를 맡는 그런 방안도 다각적인 측면에서 수용될 수가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