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보금자리 분양가 LH와 같다”
국토부 LH지원방안 발표… 자산매각해 6조원 자금 수혈
관리자
| 2011-03-17 15:58:00
정창수 국토해양부 1차관은 16일 LH 정부지원방안과 관련해 “보금자리주택 사업에 민간이 참여해도 분양가는 LH가 공급하던 수준과 동일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날 유동성 확보와 사업구조 개선을 골자로 하는 LH 정부지원방안을 발표했다.
다음은 정 차관과의 일문일답이다.
-LH 사업에 민간이 참여한다면 적정 수익을 원할텐데.
“수익이 나지 않으면 처음부터 민간이 참여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보금자리주택처럼 주변보다 분양가를 낮게 매겨도 최소한의 수익은 나기 때문에 민간이 참여할 여지가 있다."
-민간이 보금자리주택에 참여해도 분양가는 같은가.
“민간 사업자가 원하는대로 분양가를 허용해준다면 보금자리주택이 아니다. LH가 공급해 오던 보금자리 분양가와 같은 수준에 공급할 예정이다. 보금자리주택의 사업방식을 다각화하면서 일부를 민간이 들어올 수 있게 해 준다는 개념이다."
-학교용지 부담 및 녹지율 축소는 어디까지 협의됐나.
-임대주택 운영은 항상 손실이 날 수 밖에 없는데 매번 정부가 지원해 주는가.
“정부가 산업단지, 보금자리주택, 임대주택 운영, 세종도시 및 혁신도시 등의 LH 사업에 대해 손실보전 해준다는 의미는 직접 재정지원을 해준다기 보다 LH에 대한 정부 신뢰를 대외적으로 공포하는 것이다. 임대주택 건설에 손실이 나는 것은 사실이지만 분양주택에서 발생한 수익으로 보전하고 있다. 또 그동안 국책사업에서 발생한 손실을 정부가 재정으로 실제 지원한 사례도 거의 없다."
-정부의 공공개발사업 패러다임이 민간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이겠다는 방향으로 바뀐 것인가.
“도시개발법을 보면 사업추진 주체가 민간이 될 수도 있다. 이미 도시개발 패러다임은 민간참여를 허용하는 쪽으로 바뀐 상태."
-6조원 유동성 확보는 어떻게 되는 것인가?
“27조원의 미매각 자산을 자산관리공사나 SPV를 만들어 2조원 내외로 팔 계획이다. 부동산 시장 여건 보면 더 팔릴수도 있다. LH에 대한 신용보강차원에서 국민주택기금 대출을 후순위채로 돌리는 것은 LH 채권발행을 통해 3조원 내외를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부동산시장 여건에 따라 6조원 이상의 금액이 확보될 수도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