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권주자들의 다문화 관심 절실하다

진용준

| 2011-07-26 13:55:00


Warning: getimagesize(http://www.siminilbo.co.kr/news/photo/Bdatafile/News/274954_1.jpg): failed to open stream: HTTP request failed! HTTP/1.1 404 Not Found in /home/simin/mobile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76
편집국장 고하승
무려 100명에 가까운 어린 학생과 시민을 학살한 노르웨이 극우 테러살인범 ‘브레이빅’이 한국과 일본을 '지향할 국가의 모습'으로 꼽았다는 부끄러운 소식이 들린다.

그는 범행 전 다문화주의와 이슬람을 강력히 비판했다.
그런 그가 한국을 ‘반(反)다문화’의 모범국가(?)로 꼽았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 사회는 다문화에 대한 존중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셈이다.
실제 지금 우리 사회는 다문화에 대한 인식부족이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인종과 종교, 출신 국가, 민족, 피부색 등을 이유로 차별을 당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제기한 사례가 최근 5년 사이에 배로 늘어난 것이 그 단적인 장증이다.
26일 인권위에 따르면 2001년 11월 이후 지난 5월 현재까지 인종을 이유로 차별받았다며 제기된 진정 사건은 무려 50건에 달한다. 2008년까지 한 자릿수였던 진정 건수가 2009년과 2010년에는 각각 22건과 12건으로 크게 늘었다.
특히 출신 국가 때문에 차별받았다는 진정은 213건에 달했다.
종교를 이유로 차별받았다는 진정도 2007년과 2008년 각각 12건, 2009년과 2010년 각각 18건으로 총 103건이었다.
뿐만 아니라 민족이나 피부색 등을 사유로 한 진정도 각각 10건, 7건이 접수됐다.
인종이나 출신 국가와 민족, 종교, 피부색 등 '다문화적 요소'를 이유로 제기된 차별 사례를 모두 합하면 2005년 32건이던 것이 지난해에는 64건으로 5년 만에 배로 늘어난 셈이다.
이건 공식적인 기록에 나타난 것이고, 드러나지 않은 것은 이보다 훨씬 많을 것이다.
문제는 이런 현상이 가면 갈수록 더욱 심각해 질 것이란 점이다.
실제 우리 사회에는 '이주노동자가 일자리를 빼앗는다'는 등의 편견이 많이 확산돼 있다.
그러다보니 ‘다문화 반대’를 요구하는 극우세력이 점차 조직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실제 이들은 지난해 10월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 ‘이슬람 국가를 노동 송출 국가에서 제외시켜 달라’는 글을 1500개 이상 올려 게시판을 마비시키는가 하면, 지난달에는 다문화를 미화했다며 서울 여의도 KBS 방송국 앞에서 집단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게다가 다문화 관련 법안을 발의하는 국회의원에게는 항의 전화나 e메일 테러도 서슴지 않는 상황이다.
‘외국인노동대책시민연대’라는 단체의 홈페이지에는 노르웨이 테러범을 옹호하는 글들이 잇따르기도 했다.
심지어 “현재 유럽판 다문화주의의 영향을 받아 덩달아 다문화를 추구하고 있는 한국에서 이 같은 테러는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라는 섬뜩한 글도 발견되었다.
‘다문화정책반대’라는 단체의 카페에도 “멀지 않은 미래에 대한민국에서도 다문화를 추구했던 당들에 대한 응징이 일어날 개연성이 크다”는 글이 올라 있다.
그 아래에는 “한국도 다문화, 다문화 하다가 저 꼴 난다, 어느 날 한국인이 기관총과 수류탄을 들고 200명 사살(할 수 있다)”이라는 댓글이 달려있다.
즉 이번 노르웨이 테러 사건이 결코 남의 일이 아니며 한국 정부도 다문화주의를 철폐하지 않는 한 국내에서도 언제든지 이 같은 일이 벌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올바른 인식이 아니다.
외국인 노동자들 때문에 우리나라 노동자들이 역차별 당하고 있다는 극우단체의 주장은 터무니없다.
그들은 우리나라 노동자들이 기피하는 3D 업종의 인력부족을 메우기 위해 유입됐고, 그것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우리는 그들을 오히려 이해하고 따듯하게 감싸 안아 주어야 한다.
특히 정치권이 다문화에 대한 관심이 절실하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정치권은 아직도 이 문제에 대해 심각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차기 유력 대권주자 가운데 한 사람인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이 문제에 대해 깊은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실제 박 전 대표는 전재희 의원이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재임 할 당시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이 100만명이 넘었고, 결혼의 11%가 국제결혼”이라며 다문화 가정에 대한 언어지원 정책과 지원센터에 대한 효율적
인 지원 방안 등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다보니 ‘근혜동산’ 등 박 전 대표 지지단체들도 이 문제에 관심을 갖고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봉사활동을 펴고 있다고 한다.
필자는 이런 움직임이 우리 사회 전반으로 확대되기를 바라며, 다른 대권주자들의 다문화 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는 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