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표, 힘의 근원은 ‘원칙’
안은영
| 2011-08-10 15:28:00
Warning: getimagesize(http://www.siminilbo.co.kr/news/photo/Bdatafile/News/275968_1.jpg): failed to open stream: HTTP request failed! HTTP/1.1 404 Not Found in /home/simin/mobile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76
|
편집국장 고하승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가 박근혜 전 대표의 말 한마디에 꼬리를 내리고 말았다. 홍준표 대표가 당초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충청권 인사 2명을 임명하려고 했으나, 박 전 대표의 반대에 부딪혀 결국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충청권과 호남권 인사를 한 명씩 임명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홍 대표는 지난달 27일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홍문표 한국농어촌공사 사장과 정우택 전 충북지사를 임명하려 했었다. 그런데 두 사람은 모두 충청권 인사다. 호남 인사를 배제하려한 것이다. 그동안 한나라당은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반드시 호남권 인사를 한 사람 임명해 왔었다. 그런데 홍 대표가 이 같은 관례를 깨려 한 것이다. 사실상 ‘호남포기’를 공식화하려한 셈이다. 하지만 이는 대단히 잘못된 전략이다. 특히 전국정당을 지향하는 여당이 어느 특정 지역을 포기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아무리 총선에서 더 많은 표를 가져 올수 있다고 해도 지역감정을 유발시키는 전략이라면, 그런 전략은 버려야 한다. 게다가 ‘호남 포기’가 득표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있는 마당이다. 따라서 박 전 대표가 “한나라당은 전국 정당을 지향하는 당”이라며 “그 정신에 맞게 지명직 최고위원도 결정하는 게 좋지 않겠느냐”고 반대의사를 나타낸 것은 매우 시의적절한 발언이라는 판단이다. 결국 ‘홍키호테’라는 별명을 가진 홍 대표도 박 전 대표의 이 말 한마디에 자신의 뜻을 접고 말았다. 어쩌면 이게 박근혜 전 대표가 가지고 있는 힘의 원천인지도 모른다. 즉 ‘원칙’을 지키는 태도가 박 전 대표의 힘이자 ‘박근혜 대세론’의 실체일지도 모른다는 말이다. 박 전 대표의 ‘원칙’은 다른 곳에서도 빛을 발했다. 특히 친박계 의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는 전날 미국발 금융위기'에 대해 “국가경제에서 재정건전성이 가장 중요한 보루라는 점을 확인시킨 일”이라며 “재정은 순식간에 악화할 수 있어 정부에서는 중장기적 차원에서 재정건전화 계획을 세워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친박계가 제동을 걸었다. '재정건전성'을 우려하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그것은 원칙이 아니라는 것. 우선 박 전 대표의 ‘경제 가정교사’로 불리는 이한구 의원은 이날 국가부채와 관련, “우리 국가부채 계산법은 선진국과는 다르다”며 “선진국 방식으로 계산하면 절대 안심할 수준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국회 저축은행국정조사특위가 저축은행 피해 보상안을 놓고 현행 5000만원에서 6000만원으로 보상기준을 상향조정한 것에 대해 “전형적인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비난했다. 또한 친박계 유승민 최고위원은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5000만원까지만 보상하게 한 원칙을 훼손하면 여러 가지 많은 것들이 무너진다"며 "예금자 보호법의 원칙을 훼손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친박계 중진 이경재 의원도 "결국 특별법을 만들어 소급적용을 통해 보상을 해줘야 하는데, 소급입법 자체가 위헌적 요소가 있다"며 "포퓰리즘도 '원조 포퓰리즘'과 '짝퉁 포퓰리즘'이 있는데 우리는 짝퉁 포퓰리즘으로 따라가고 있다. 그렇게 하면 결국 원조가 이기고 짝퉁이 지게 돼 있다. 우리는 우리 나름대로의 원칙을 지키는 것으로 가야 한다"고 거듭 ‘원칙’을 강조했다. 맞는 말이다. 당장 보상안을 6000만원으로 상향조정하는 편법을 쓸 경우 표가 따라 올 것은 자명한 일이다. 하지만 재정건전성은 어찌되는가. 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원칙’은 대단히 중요한 것이다. 특히 정치인들에게 ‘원칙’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모쪼록 우리나라 정치인들 모두가 ‘편법’ 보다는 ‘원칙’을 지키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