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대통합-야권연대는 물 건너갔다
박규태
| 2011-11-17 13:02:00
Warning: getimagesize(/home/simin/public_html/news/data/20111117/p179527835430491_903.jpg):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simin/mobile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76
편집국장 고하승
야권 통합에 동의하는 제 세력이 통합정당 건설을 논의하기 위한 연석회의 구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반쪽 통합’ 논의에 불과하다.
실제 통합의 양대 축인 민주당과 `혁신과통합'이 20일 연석회의 출범을 목표로 서두르고 있으나, 민주노동당과 노회찬·심상정·조승수 등 진보신당 탈당파가 주축이 된 '새진보통합연대' 및 국민참여당 유시민 대표 등의 반응은 냉담하다.
이들은 별도의 ‘진보통합’을 논의하고 있으며, 17일 민노당이 참여당의 중재안을 받아들임에 따라 논의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한마디로 야권 대통합은 물 건너갔다는 말이다.
결국 야권은 두 개의 세력이 쪼개져 ‘소통합’을 이루는 것으로 만족해야하는 상황이 되고 말았다.
한 쪽, 그러니까 현재 준비모임 단계인 연석회의에는 민주당과 혁신과통합, 박원순 서울시장, 김두관 경남지사 등이 가입한 상태다.
진보적 대중정당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는 `진보통합 시민회의'도 연석회의 합류를 결정했다. 여기에다 한국노총이 전날 중앙집행위원회 및 중앙정치위원회를 열어 야권 연석회의에 참여키로 결정했다.
얼핏 대단해 보이지만 통합 주체세력의 면면을 보면, ‘민주당과 친노(친노무현) 세력의 결합’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게 됐다.
또 다른 한쪽은 어떤가. 맥 빠지기는 마찬가지다.
민주노동당이 진보통합과 관련한 국민참여당의 중재안을 수용했다.
민노당 우위영 대변인은 이날 "오늘 오전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참여당의 중재안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민노당은 내달 4일까지 통합 참여 단위의 모든 절차를 완료할 것을 제안했다.
또 18일까지 과도기에 적용될 강령, 당헌을 포함한 합의를 완료할 것을 제시하는 한편, 27일 대의원대회 열고 진보통합에 대한 의결 절차를 거치기로 했다.
민노당이 참여당의 중재안을 수용함에 민노당과 참여당, 진보신당 탈당파인 새진보통합연대가 추진 중인 진보통합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당초 이들과 함께하려던 시민회의는 방향을 돌려 민주당과 혁신과 통합이 주축이된 연석회의에 먼저 참여하는 방식을 택하고 말았다.
또 국민참여당 내에서도 이병완 상임고문을 비롯해 연석회의 참여자가 속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실제 이 고문은 참여당이 민노당과의 통합을 추진하는 것을 반대했지만 지도부가 통합 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연석회의 합류 결심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재정 전 대표 역시 ‘진보통합’ 보다는 연석회의 참여를 고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연석회의’나 ‘진보통합’ 가운데 어느 한 쪽으로의 급격한 힘 쏠림 현상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야권은 민주진영을 대표하는 ‘연석회의 소통합’과 진보진영을 대표하는 ‘진보 소통합’세력으로 양분돼 헤게모니 쟁탈전을 벌일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물론 이들 야권 양대 세력은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연대’하겠다는 뜻을 피력하고 있지만, 그게 그리 쉽지 않다.
총선에서 야권연대를 이루려면, ‘연석회의 소통합’ 세력이 일정 지역을 ‘진보 소통합’ 세력에게 양보해야만 한다.
하지만, 어느 지역을 양보 할 것인가.
현역 의원들이야 그렇다고 치고, 민주당 내에서는 이미 원외 당협위원장들이 ‘똘똘’ 뭉쳐 있는 상태다. 따라서 ‘원외’라고해서 무조건 공천에서 배제하기는 어렵게 됐다.
여기에 ‘혁신과 통합’은 전국적으로 조직을 확장해 가고 있는 상태이고, 민주노총 세력과 시민회의 세력 등도 모두 한솥밥을 먹어야 하는 처지가 됐다.
결국 민주당 원외 위원장과 ‘혁신과 통합’이 추천하는 인물, 민주노총 출신 및 시민회의 출신 인사들이 한 자리 공천을 놓고 치열한 내부 경쟁을 벌일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진보소통합 세력에게 일정 지역의 공천을 양보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한마디로 야권 대통합의 결렬은 총선에서의 야권 연대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말이다.
대선 역시 마찬가지다.
지금까지 각종 선거에서 야권은 ‘MB 심판’이라는 명분으로 연대가 가능했었다.
하지만 대선은 새로운 대통령을 선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MB 심판’이라는 구호가 먹혀들어 가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념 정당을 표방하고 있는 진보소통합 세력이 아무런 명분 없이 후보를 양보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결국 총선뿐만 아니라, 대선에서도 야권연대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판단이다.
실제 통합의 양대 축인 민주당과 `혁신과통합'이 20일 연석회의 출범을 목표로 서두르고 있으나, 민주노동당과 노회찬·심상정·조승수 등 진보신당 탈당파가 주축이 된 '새진보통합연대' 및 국민참여당 유시민 대표 등의 반응은 냉담하다.
이들은 별도의 ‘진보통합’을 논의하고 있으며, 17일 민노당이 참여당의 중재안을 받아들임에 따라 논의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한마디로 야권 대통합은 물 건너갔다는 말이다.
결국 야권은 두 개의 세력이 쪼개져 ‘소통합’을 이루는 것으로 만족해야하는 상황이 되고 말았다.
한 쪽, 그러니까 현재 준비모임 단계인 연석회의에는 민주당과 혁신과통합, 박원순 서울시장, 김두관 경남지사 등이 가입한 상태다.
진보적 대중정당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는 `진보통합 시민회의'도 연석회의 합류를 결정했다. 여기에다 한국노총이 전날 중앙집행위원회 및 중앙정치위원회를 열어 야권 연석회의에 참여키로 결정했다.
얼핏 대단해 보이지만 통합 주체세력의 면면을 보면, ‘민주당과 친노(친노무현) 세력의 결합’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게 됐다.
또 다른 한쪽은 어떤가. 맥 빠지기는 마찬가지다.
민주노동당이 진보통합과 관련한 국민참여당의 중재안을 수용했다.
민노당 우위영 대변인은 이날 "오늘 오전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참여당의 중재안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민노당은 내달 4일까지 통합 참여 단위의 모든 절차를 완료할 것을 제안했다.
또 18일까지 과도기에 적용될 강령, 당헌을 포함한 합의를 완료할 것을 제시하는 한편, 27일 대의원대회 열고 진보통합에 대한 의결 절차를 거치기로 했다.
민노당이 참여당의 중재안을 수용함에 민노당과 참여당, 진보신당 탈당파인 새진보통합연대가 추진 중인 진보통합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당초 이들과 함께하려던 시민회의는 방향을 돌려 민주당과 혁신과 통합이 주축이된 연석회의에 먼저 참여하는 방식을 택하고 말았다.
결국 ‘연석회의’나 ‘진보통합’ 가운데 어느 한 쪽으로의 급격한 힘 쏠림 현상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야권은 민주진영을 대표하는 ‘연석회의 소통합’과 진보진영을 대표하는 ‘진보 소통합’세력으로 양분돼 헤게모니 쟁탈전을 벌일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물론 이들 야권 양대 세력은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연대’하겠다는 뜻을 피력하고 있지만, 그게 그리 쉽지 않다.
총선에서 야권연대를 이루려면, ‘연석회의 소통합’ 세력이 일정 지역을 ‘진보 소통합’ 세력에게 양보해야만 한다.
하지만, 어느 지역을 양보 할 것인가.
현역 의원들이야 그렇다고 치고, 민주당 내에서는 이미 원외 당협위원장들이 ‘똘똘’ 뭉쳐 있는 상태다. 따라서 ‘원외’라고해서 무조건 공천에서 배제하기는 어렵게 됐다.
여기에 ‘혁신과 통합’은 전국적으로 조직을 확장해 가고 있는 상태이고, 민주노총 세력과 시민회의 세력 등도 모두 한솥밥을 먹어야 하는 처지가 됐다.
결국 민주당 원외 위원장과 ‘혁신과 통합’이 추천하는 인물, 민주노총 출신 및 시민회의 출신 인사들이 한 자리 공천을 놓고 치열한 내부 경쟁을 벌일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진보소통합 세력에게 일정 지역의 공천을 양보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한마디로 야권 대통합의 결렬은 총선에서의 야권 연대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말이다.
대선 역시 마찬가지다.
지금까지 각종 선거에서 야권은 ‘MB 심판’이라는 명분으로 연대가 가능했었다.
하지만 대선은 새로운 대통령을 선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MB 심판’이라는 구호가 먹혀들어 가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념 정당을 표방하고 있는 진보소통합 세력이 아무런 명분 없이 후보를 양보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결국 총선뿐만 아니라, 대선에서도 야권연대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판단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