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신당’ 성공 못한다

안은영

| 2011-11-22 15:47:00


Warning: getimagesize(http://www.siminilbo.co.kr/news/photo/Bdatafile/News/284959_1.jpg): failed to open stream: HTTP request failed! HTTP/1.1 404 Not Found in /home/simin/mobile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76
편집국장 고하승

지금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른바 ‘제 3 신당론’이 봇물처럼 터져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언론에서 거론됐던 것만 해도 ‘안철수 신당론’ ‘보수 신당론’ ‘친박 신당론’ 등 무수히 많다.

이 가운데 ‘친박 신당론’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한마디로 일축해버렸기 때문에 논외로 하더라도 ‘안철수 신당론’과 ‘보수 신당론’은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안철수 원장에 이어 ‘청춘콘서트’를 이어나갈 법륜스님은 "지금처럼 보수와 진보, 여야가 완전히 패를 나눠 싸우고 지역 이기주의로만 흐르면 나라가 망한다"며 새 정당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또 안철수 교수의 청춘콘서트를 기획한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 역시 "기성 정치권에 대한 국민들의 혐오와 불신이 극에 달했다"며 제 3 정당 탄생 가능성을 시사하고 나섰다.

법륜 스님과 윤 전 장관은 모두 보수성향의 인사들이다. 그렇다면 이들이 말하는 ‘제 3당’이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이 주창하는 ‘보수신당’을 의미하는 것일까?

아무래도 그런 것 같지는 않다. 이들은 모두 안철수 교수가 참여했던 ‘청춘콘서트’와 연관이 있는 인사들이다. 따라서 이들이 언급한 ‘새 신당’은 당연히 ‘안철수 신당’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지만 안철수 신당에 대해 전문가들은 대부분 회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

우선 ‘시간이 없다’는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힌다.

만일 안교수가 민주당 등 기존의 야당에 들어가 대권주자로 나서면 어찌될까?

그의 중도 이미지는 급격히 퇴색해 버릴 것이고, 덩달아 고공행진을 거듭했던 지지율도 곤두박질치고 말 것이다. 따라서 그는 기존 정당에 들어가는 것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해서 ‘나홀로’ 선거를 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안교수가 대선에 출마하려면 조직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조직을 만들려면 내년 총선에 후보들을 내고, 그 후보들을 대거 당선시킬 수 있는 정당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총선은 불행하게도(?) 내년 4월에 있다.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4월 총선준비를 하려면 적어도 내년 1월이나 2월까지는 독자세력을 구축할만한 신당을 만들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설사 운 좋게 신당이 만들어졌다고 해도 ‘안철수 신당’이 성공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우선 여권에서는 ‘안풍’에도 전혀 흔들림이 없는 박근혜 전 대표가 자리를 지키고 있다.

그의 입지가 확고하다는 사실은 각종 여론조사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

따라서 박 전 대표 지지자들이 안철수 신당으로 옮겨갈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

민주당 등 야권은 어떤가.

지금 당장은 초라하기 그지없다.

민주당 대의원들 가운데 무려 1/3 이상이 ‘안철수 신당’을 지지하겠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올 정도다.

하지만 야권통합이 이뤄지면 상황은 달라질 것이다.

전통적인 민주당 지지자들은 바람에 흔들리는 갈대가 아니라 뿌리 깊은 나무다. 결코 쉽게 안철수 신당 쪽으로 옮겨가지 않을 것이란 뜻이다.

결국 안철수 신당은 박근혜 지지표와 민주당 지지표를 제외한 표만 가지고 승부수를 띄워야 하는데, 그런 선거는 백전백패다.

한 마디로 안철수 신당은 결코 성공할 수 없다는 말이다.

박세일 이사장이 요즘 소리 높이는 ‘보수신당’ 역시 마찬가지다.

기성 정당에 대한 국민의 혐오와 불신이 극에 달한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해서 ‘보수신당’이 대안이 될 수는 없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서 ‘보수신당’에 대한 지지율이 겨우 10%대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이를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진정으로 정당발전을 바란다면, ‘제 3당’을 거론하기보다 한나라당과 민주당 등 기성 정당이 개혁을 이룰 수 있도록 때로는 채찍질하고, 때로는 밀어주어야 한다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경고하거니와 안철수 신당이나 보수신당을 막론하고, 단지 기성정당에 대한 국민의 혐오와 불신이 극에 달한 것을 기회 삼아 섣불리 ‘제 3신당’을 만들었다가는 패가망신 당할지도 모른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