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신당 전국시대’인가
편집국장 고하승
관리자
| 2011-11-27 13:15:00
Warning: getimagesize(http://www.siminilbo.co.kr/news/photo/Bdatafile/News/285315_1.jpg): failed to open stream: HTTP request failed! HTTP/1.1 404 Not Found in /home/simin/mobile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76
|
지난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무소속 박원순 후보가 당선됐다.
그것도 거대 여당인 한나라당 나경원 후보에 무려 7% 이상 앞섰다. 제1야당인 민주당에서는 아예 후보조차 내지 못했다. 기존 정당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 그만큼 깊었다는 뜻이다. 그러자 여기저기서 신당론이 봇물처럼 쏟아지기 시작했다. 가장 먼저 행동에 옮긴 것은 민주당과 야권통합을 추진하고 있는 ‘혁신과통합’이다. <혁신과통합> <진보통합시민회의>, <창조한국당>과 <국민참여당>의 대통합 추진세력 등 민주당 외 통합정당출범 연석회의 참가자들은 지난 24일 시민통합당(가칭) 창립준비위원회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했다. 물론 시민통합당은 신당을 위해서라기보다 중앙선관위의 유권해석에 따라 통합을 위한 법적요건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민주당 내분으로 인해 민주당과의 통합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경우, 시민통합당이 독자세력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다. 또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이 전국적인 릴레이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신당 창당 작업을 가속화 하고 있다. 박 이사장은 27일 오후 3시 부산에서 장기표 녹색사회민주당 대표와 함게 '대중도통합신당(K-Party)'(가칭)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들은 이날 부산지역 설명회를 시작으로 대전과 광주, 대구, 인천, 수도권 등을 다니면서 전국적인 창당 설명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후 내달 중순 창당준비위원회를 발족하고 내년 1~2월 경에 창당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들은 내년 총선에서 상당한 숫자의 후보를 내고, 원내 대표를 구성하는 의석을 확보한다는 목표를 세워두고 있다. 또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국민행복당(창당준비위원장 허평환 전 국군기무사령관)’이 이날 오후 공식 출범을 선언했다. 앞서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탈당파인 조승수 의원과 심상정, 노회찬 전 의원 및 국민참여당 유시민 대표 등은 ‘진보통합신당’을 만들기로 결의한 상태다. 여기에 최근 법륜 스님도 ‘제 3신당’을 언급한 바 있으며, 아직은 실체가 드러나지 않은 ‘안철수 신당’도 끊임없이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민주화 이후 총선 때만 되면 수많은 신당이 출현해 관심을 모았지만, 대부분의 신당은 기성 정치권의 높은 벽을 넘지 못하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말았다. 마찬가지로 이들 신당 역시 성공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을 것이다. 실제 1988년 치러진 13대 총선 당시 등장한 진보정당인 한겨레민주당은 68명의 후보를 냈으나 전남 신안군에 출마한 박형오 후보가 1석을 얻는 데 그쳤다. 그마저도 박 의원이 평민당에 입당하면서 의석수 '0'의 원외정당 신세로 전락하고 말았다. 1992년에는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의 통일국민당이 창당 직후 치러진 14대 총선에서 국회의원 31명을 당선시키며 정치권에 일대 파장을 몰고 왔으나, 같은 해 정 회장의 대통령선거 패배와 탈당에 따라 군소정당으로 전락하더니, 급기야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1997년 당내 대선후보 경선 결과에 불복해 신한국당을 탈당한 이인제 의원이 주도한 국민신당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1석도 얻지 못하면서 결국 10개월 만에 해체되고 말았다. 2000년 조순ㆍ김윤환 의원 등을 중심으로 영남권 기반 신당을 모색했던 민주국민당도 그해 총선에서 겨우 2석을 얻는데 그쳤고, 2004년 17대 총선에서 정몽준 의원을 중심으로 탄생한 '국민통합21'은 정 의원을 제외한 전원이 낙선하고 말았다. 총선 6개월 전 만들어진 창조한국당은 지역구 1석과 비례대표 2석을 얻는데 그쳤고, 문국현 전 대표가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하면서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2008년 18대 총선에 이회창 전 자유선진당 대표가 이끈 자유선진당이 지역구와 비례대표를 합해 18석을, '박근혜 정당'을 표방한 친박연대가 14석을 얻으며 돌풍을 일으켰지만 지금은 양당 모두 초라하기 그지없다. 선진당은 이후 각종 선거에서 지지기반인 충청권에서조차 힘을 쓰지 못했고, 친박연대는 미래희망연대로 당명을 개정하면서 그 존재감마저 찾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지금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신당들 역시 생명력이 오래 갈 것 같지는 않다. 국민들은 비록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행태가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 오랜 전통을 가진 이들 정당이 반성하고 개혁해 새롭게 거듭나기를 바라고 있는 지도 모른다. 어쩌면 그것이 실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신당에 기대는 것보다 더 현명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