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공정한 인적쇄신’ 믿는다
주정환
| 2012-01-16 16:07:00
Warning: getimagesize(http://www.siminilbo.co.kr/news/photo/Bdatafile/News/289589.jpg): failed to open stream: HTTP request failed! HTTP/1.1 404 Not Found in /home/simin/mobile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76
|
[시민일보]박근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자신의 모든 것을 내려놓았다.
박 위원장은 16일 "정당쇄신의 핵심은 공천"이라며 "국민이 납득할만한 공천의 기준과 틀에 따른 시스템 공천을 꼭 이뤄내야 하겠다"고 밝혔다.
박 비대위원장은 이날 오전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공천을 둘러싸고 여러 논란이 있었지만 투명한 공천이 이뤄진다면, 우리나라 정치발전에 큰 의미가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어 그는 "공천이 있을 때마다 납득할만한 공천이 이뤄지지 않아 불신이 계속 쌓여왔고, 그에 따른 후유증도 잇따랐다"면서 "공천을 틀과 기준에 따라 결정한다면, 그것이 정치 쇄신의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같은 날 출입기자들과의 오찬에서 "공심위원장은 외부 인사에서 선임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실 박 위원장은 비상대책위원장으로서 당내 모든 권한을 위임받은 상태다.
실제 한나라당은 지난해 12월 12일 오후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무려 5시간의 격론 끝에 유력 차기 대권주자인 박근혜 위원장을 중심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키로 했다.
특히 한나라당은 당시 의총에서 비대위가 당 운영의 전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당의 최고의사결정 기구인 최고위원회의의 권한을 위임키로 결정하고, 이에 따른 당헌·당규 개정을 위해 전국위원회를 소집하기도 했다.
당시 5시간에 걸쳐 진행된 의총에는 전체 169명의 당 소속 의원 가운데 139명이 참석했으며, 33명이 토론에 나섰다. 참석 의원 대부분은 박근혜 위원장이 주도하는 비대위를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출범시켜 지도부 공백에 흔들리는 당 체제를 수습토록 하는 등 당의 안정을 꾀해야 한다는데 의견 일치를 봤다.
따라서 박 위원장이 마음만 먹으면, 공천권을 무제한 행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나라당 대통령 경선에서 패한 이후 한나라당은 단 한 번도 그에게 권한을 나눠 준 적이 없다. 철저하게 소외된 그였다.
그래서 조금 욕심을 부리고 ‘내 사람 챙기기’를 한다고 해도 누구 하나 나무랄 사람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아주 철저하게 자신의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았다.
이날 현역 의원 25% 공천 배제 방침을 밝히면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 것이 그 단적인 사례다.
인적쇄신을 하되, 자신의 호불호와 관계없이 철저하게 시스템에 의한 인적쇄신을 단행하겠다는 것이다.
실제 이날 비대위는 현역 의원 공천문제와 관련해 경쟁력과 현역 교체지수를 여론조사로 평가, 각각 50%씩 반영키로 했다.
이같은 비대위의 결정에 따르면 현재 한나라당 지역구 의원 144명 가운데 이미 불출마를 선언한 8명을 제외한 의원 136명 중 34명의 현역 의원이 공천에서 배제되는 것이다. 어쩌면 34명 가운데는 지난 경선 때 박 위원장을 도왔던 친박 의원들도 포함되어 있을지 모른다.
비록 그런 일이 발생하더라도 ‘공천 가능 점수’에 미달될 경우, 어쩔 수 없는 것이다. 그것이 시스템에 의한 공정한 공천이기 때문이다.
특히 외부인사 공심위원장 카드는 그 점을 확인하고, 보장하기 위한 수단일 것이다.
결국 박 위원장은 공천과 관련해 자신의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은 셈이다.
오죽하면 이상득 의원의 핵심 측근이자, 이른바 ‘왕차관’이라 불릴 만큼 이명박 정부 실세로 통하는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이 19대 총선 대구 중.남에 한나라당 예비후보로 등록하면서 “박근혜 체제에서 공천 손해 볼 가능성은 없다”며 자신감을 보였겠는가.
실제 그는 이날 한 방송에 출연해 “박근혜 비대위원장이 공천은 원칙과 기준에 의해서 투명한 공천이 되어야 한다고 누누이 강조했고, 이 기준에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친박’이라고 해서 이득을 볼 것 도 없고, ‘친이’라고 해서 손해 보지도 않는 시스템에 의한 공정한 공천, 이것이 바로 박근혜 비대위 체제가 지향하는 ‘인적쇄신’의 방식이다.
이런 상태에서 박근혜 비대위 체제 흔들기를 시도한다는 것은, 그 명분이 무엇이든 국민의 지지를 받기 어려울 것이다.
다만 경선 방식에서 그동안 한나라당을 지지하고 성원해 왔던 당원들과 대의원들의 비율보다, 당에 무관심했거나 역선택 가능성이 높은 일반국민의 참여 비율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은 여간 걱정스러운 게 아니다.
|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