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민, "MBC 다니고 있었으면 파업 동조했을 것"

이나래

| 2012-02-01 15:36:00

[시민일보]MBC 출신인 민주통합당 신경민 대변인이 현재 MBC 노조의 파업과 관련, “회사 다니고 있었으면 동조해서 파업현장에 같이 나갔을 것”이라고 밝혔다.

신 대변인은 1일 오전 BBS 라디오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MBC 노조 파업과 관련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대답했다.

그는 “제 경험으로 보면 방송, 특히 공영방송의 경우 정권의 직접적인 인사권 안에 들어와 있어서 정권의 압박을 견뎌낸다, 정권의 뜻을 거스른다고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대단히 어렵다. 거의 불가능하다”며 “지금 우리가 MBC의 일련의 상황, 뉴스보도, 시사물을 보면서 국민들이 더 이상 신뢰를 줄 수 없는 조직이나 방송이라는 것을 느끼는 것인데, 이 정권의 압박을 어떻게 견뎌낼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느냐 하는 것이 현재의 큰 숙제”라고 주장했다.

그는 “저를 몰아내기 위해 2008년도 말과 2009년도 초에 광고압박을 했다. 이 광고탄압은 박정희 정권 시절 1975년 1월에 있었던 동아일보 광고사태 이후 처음 있는 일”이라며 “당시 제가 진행했던 뉴스데스크에 11개 내지 12개 정도의 광고가 들어왔어야 하는데 한두 개 밖에 들어오지 않았다. 이런 정권의 압박을 뿌리치고 국민의 방송으로 거듭날 수 있는 계기가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최시중 방통위원장의 돈 봉투 사건 의혹에 대해서는 “일단 청문회를 해야 하고, 그 다음에 검찰수사를 당연히 해야 할 것”이라며 “검찰 수사를 받은 다음 책임져야 될 부분이 있으면 갈 곳은 뻔하지 않겠는가. 그런 추가조치를 해야 되는데 지금 아무 얘기도 없다는 것은 또 뭔가의 의혹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한편 그는 ‘정봉주법’에 대해 허위사실 공표 처벌 완화 논란이 일고 있는 것에 대해 “헌법상의 기본원칙인 표현의 자유에 대한 기본태도에 관련된 문제”라며 “어느 쪽이 옳은지는 이미 역사적으로 증명이 됐고, 선진국으로 생각하는 나라들에게 가지고 있는 규정과 운용의 실제를 보면 어느 방향이 옳은지는 너무나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쪽으로 가는 것이 이미 근대 이후의 상식이기 때문에 논란 가능성이 있다는 것 자체가 슬픈 일”이라고 지적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