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문재인-비문3인방 간 경선룰 갈등
손학규-김두관-정세균, 결선투표 도입 촉구
이영란 기자
| 2012-07-15 11:10:00
[시민일보] 12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민주통합당이 대선 주자간 경선 룰 문제로 갈등양상을 보이고 있다.
문재인 상임고문의 대선후보경선 독주를 견제하는 손학규,정세균 상임고문과 김두관 전 경남지사 등 이른바 '비문(비 문재인)3인방' 주자들이 결선투표제를 한목소리로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영환·조경태 등 타 후보들도 결선투표에 원칙적으로 찬성하고 있다.
실제 비문3인방은 15일 기자회견을 열어 경선룰 수정안 내용을 발표한 뒤 당에 수용을 촉구하고 나섰다.
수정안은 경선 1, 2위 후보 간에 결선투표를 도입하고 모바일과 현장투표, 배심원단 평가를 똑같은 비율로 반영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또 컷오프 여론조사는 당원과 국민 비율을 3대 7로 하는 기존 방안 대신 역선택을 방지하기 위해 당원만 대상으로 실시하기로 합의했다.
세 후보 캠프 대리인은 전날 회동을 갖고 이 같은 새 경선규칙에 합의했다.
이들 후보 측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다음달 25일 시작돼 9월23일 끝나는 순회경선에서 단번에 후보를 확정하는 것이 아니라 추석(9월30일) 후 1·2등간 결선투표를 또 한 번 치르자”고 제안했다.
김두관 전 지사 측 전현희 대변인도 "과반 이하의 지지를 받고 본선에 오르는 경우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며 "민주통합당이 승리하기 위해선 국민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는 후보가 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결선투표제 도입을 촉구했다.
반면 문재인 고문 측은 ▲잦은 선거로 인한 당 안팎의 피로감 ▲당 경선에서 결선투표를 한 전례가 없다는 점 ▲천문학적 비용과 촉박한 일정 등 현실적인 한계 등을 들어 난색을 표했다.
이에 따라 문고문측과 비문연대 간의 갈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