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장 고하승
`5.16은 불가피한 최선의 선택이었다`는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 경선후보의 발언이 연일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민주통합당 등 야당은 물론 심지어 여당 내부에서도 이를 빌미로 박근혜 후보를 향한 공세가 잇따르고 있다.
실제 민주당 박용진 대변인은 18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근혜 의원이 대통령이 되면 아버지를 기념하는 수준이 아니라 5·16을 국경일로 삼는 세상이 되고 말 것"이라고 꼬집었다.
새누리당 경선 후보인 김태호 의원도 이날 “아직도 역사인식이 크게 달라진 것이 없어서 안타깝다”고 공세를 취했다.
이와 유사한 공세가 여야 정치권으로부터 봇물처럼 쏟아지고 있다.
그로 인해 박근혜 후보의 지지율이 급격하게 빠지고 말았다.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의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박 의원의 지지율은 문제의 ‘5.16 발언’이 있었던 16일을 전후해 무려 4.5%p나 급락했다.
‘5.16 발언’ 전인 지난 13일 박 의원의 지지율은 41.2%로 40%대를 유지했으나, 17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36.7%로 급락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4개월 가까이 40%의 철옹성을 구축하고 있던 박 의원의 지지율이 ‘5.16 발언’ 하나 때문에 30%대로 추락하고 만 것이다.
그렇다면, 정말 박근혜 후보의 ‘5.16 발언’은 잘못된 것일까?
일단 박 후보를 공격하는 주요 포인트는 ‘최선의 선택’이었다는 발언에 있다.
만일 박 후보가 정말로 5.16 자체를 ‘최선의 선택’이었다고 평가했다면, 그것은 분명 문제가 있다.
5.16은 이론적으로나 학술적으로 ‘군사쿠데타’라는 사실을 부인 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박 후보는 5.16에 대해 ‘최선의 선택’이라고 하기에 앞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말하고 있다.
사실 ‘불가피한 선택’과 ‘최선의 선택’이라는 말은 혼용해서 사용할 수 없는 단어다. 모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두 개의 용어는 따로 떼어놓고 별도로 해석하는 게 맞다.
즉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표현은 ‘5.16 군사쿠데타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던 시대적 상황’을 의미하는 것이고, ‘최선의 선택’이었다는 표현은 ‘5.16 이후의 결과’를 의미하는 것이라는 말이다.
이렇게 두 개의 용어를 따로 떼어 놓고 보면, 박 후보의 발언이 매우 적절한 발언이었음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5.16이 발생하기 이전 시대적 상황은 어떠했는가.
보릿고개가 되면 쌀이 떨어져서 굶어 죽는 사람이 나올 정도로 경제가 어려웠다. 북한보다도 우리가 훨씬 더 못살았던 시절이었다. 심지어 60년대 국내 최초의 실내체육관 장충체육관은 필리핀의 지원을 받아 건설되기도 했었다.
오죽하면 박정희 전 대통령이 우리가 북한보다 잘 살게 될 것이라고 했을 때, 당시 북한 김일성 주석이 코웃음을 쳤었겠는가.
더구나 남북 대치가 심각한 시절이었다. 남북 간 대치가 극심해 31명의 무장공비가 청와대 코앞까지 쳐들어왔는가하면, 울진 삼척지구에서 간첩들이 출몰 하시도 했었다.
아주 절박한 시대적 상황이었다.
물론 그 절박함이 ‘쿠데타’를 정당화 할 수는 없다. 박근혜 후보 역시 그에 대해서는 동의하고 있다. 박 후보가 5.16을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표현한 것은 그 때문이다.
만일 박 후보가 5.16을 쿠데타가 아니라 정당한 것으로 생각했다면,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표현 대신에 ‘당연한 선택’, ‘반드시 해야 할 선택’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을 것 아니겠는가.
박 후보가 “유신체제로 고통을 받은 분들에게는 항상 죄송스러운 마음이 있고 진심으로 사과 드린다”고 말한 것이 이런 사실을 뒷받침해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박 후보의 ‘최선의 선택’이었다는 표현이 ‘5.16 이후의 결과’를 의미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잘못된 발언이 아니다.
실제 오늘날 우리나라가 세계 10대 경제대국의 위치에 올라설 수 있었던 것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공로라는 데에 대해서 별다른 이견이 없다.
박 후보의 발언은 한마디로 이런 것이다.
“비록 시대적 상황이 절박해 불가피하게 쿠데타로 집권하기는 했지만, 이후 성과를 보면 ‘최선의 선택’이었다.”
따라서 박 후보의 발언을 비판하려면, 이런 해석을 가지고 비판하는 게 맞다.
거두절미하거나 사실을 왜곡하고, 그것을 전제로 비판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