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李·朴 2선 퇴진론' 등 갈등 심각

손학규-김두관, “당내 패권주의 전횡” 문재인 겨냥

이영란 기자

| 2012-09-03 14:27:00

[시민일보] 민주통합당 대통령선거 경선 과정에서 이해찬 대표와 박지원 원내대표를 겨냥한 '지도부 퇴진론'이 당 일각에서 제기되는 등 계파갈등이 심각한 양상이다.

3일 민주당 관계자 등에 따르면, ‘이-박 퇴진론’을 제기하는 일부 비당권파 의원들은 경선 과정에서 비문(비문재인) 주자들이 제기하는 당 지도부의 공정성 문제와 함께 검찰의 양경숙 라디오21 전 대표 공청헌금 의혹 수사의 칼끝이 박 원내대표 및 일부 친노 인사들을 향한다는 점 등을 문제 삼고 있다.

이와 관련 비당권파 의원들은 이날 오전 9시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친노(친노무현) 세력 중심으로 형성된 당권파가 당을 이끌어 나가는 데 대해 공개적으로 불만을 제기하며 '이·박 퇴진'을 거론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일단 불발에 그쳤다.

초선인 황주홍 의원(전남 장흥·강진·영암)은 "이 대표와 박 원내대표가 대선 후보들에게 덕이 아닌 짐이 되는 상황"이라며 "당 지지율에 있어 상대 정당과 격차가 나오는 점에 대해 잘잘못을 떠나 지금이 본인들이 아름답게 결단할 수 있는 타이밍"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날 의총에서는 이번 정기국회에서 민주당이 당론으로 발의한 법안과 관련해 정책 논의가 집중적으로 이뤄졌을 뿐 이 대표 및 박 원내대표 퇴진론을 포함한 당 쇄신책에 대한 의견은 제기되지 않았다.

하지만 일부 의원들이 회동을 통해 당 쇄신의 필요성에 의견을 함께 하고 있어, 향후 쇄신론의 불씨가 살아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비문 주자들의 공세도 한층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손학규 후보는 이날 오전 광주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금까지 치러진 6개 지역 투표 결과 당심과 모바일심의 괴리현상이 심각하다"며 "기득권을 버리지 못하는 친노 패권세력의 전횡으로 민주당이 위기에 처해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손 후보는 "누적 투표수를 분석한 결과 손학규 2만5449표, 문재인 4만7910표였지만 대의원 투표는 손학규 648표, 문재인 460표, 투표소 투표는 1962표 대 1851표라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며 "모바일에 의해 당심과 민심은 사라지고 모바일심만 남은 꼴이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당내 최대 계파인 친노세력을 등에 업고 경선에서 유리한 룰을 선점해 가는 것이 과연 새로운 정치냐"며 "친노계파의 패거리 정치, 밀실공천, 나눠먹기 공천, 낙동강 벨트 수호라는 해괴한 신지역 주의 때문에 민주당이 위기로 치닫고 있다"고 문재인 후보측을 겨냥했다.

이어 그는 "광주·전남은 민주당의 심장이자 민주정부 10년이 시작된 곳으로 광주·전남의 전략적 판단이 정권교체의 초석이 될 것"이라며 "친노 패권세력의 어설픈 대세론과 '박정희 대 노무현 대결구도'로는 정권교체를 이룰 수 없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김두관 후보도 "당내 패권세력의 전횡으로 당은 분열되고 국민은 외면하고 있다"며 문재인 후보 측을 겨냥했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광주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민주당이 위기에 처한 것은 호남의 정신, 김대중 정신을 잃어버렸고 진짜 노무현 정신을 망각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또 그는 "참여정부는 지역차별로 인해 수십년간 낙후된 호남의 발전에 기여하지 못했고 인사에서도 호남 차별을 시정하지 못했다"며 "참여정부에서 행자부장관과 정무특보를 지낸 사람으로서 호남 주민들과 민주당 지지국민들에게 깊이 사죄를 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민주당은 이제 호남의 정신으로 돌아가 국민통합과 남북화해의 시대를 열었던 김대중 정신을 되찾고 반칙과 특권이 없는 나라, 사람 사는 세상을 꿈꿨던 노무현 정신을 이어가야 한다"며 "대통령이 되면 김대중 전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계승발전시키고 중산층과 서민, 99% 대중을 위한 개혁진보노선을 확고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