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9년, 시민 2명이 노인 1명 부양

고령화 가속화 영향… 유소년·청장년층 줄듯

전용혁 기자

| 2012-09-05 17:15:00

[시민일보] 오는 2039년에는 서울시내 생산인구 2명당 1명의 노인을 부양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가 2012년 장래인구추계(통계청)를 분석한 결과 노인 1명을 보양하는 생산인구(15~64세)가 현재 7.4명에서 2039년이면 2명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이는 저출산 및 평균수명 증가 등으로 인한 고령화 가속화에 따른 것으로 2039년이면 시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108만3000명(올해 6월 말)에서 294만6000명으로 172%(186만3000명)나 증가하는 반면, 유소년(0~14세) 인구는 25%(33만8000명), 생산가능 인구는 26%(205만8000명)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2039년에는 0~14세, 15~64세, 65세 이상 인구비율 구조가 10.3% : 60.1% : 29.6%로 변해 노인인구가 유소년인구의 3배에 달하고, 생산인구 2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노부모 부양이 가족만의 책임이 아닌 가족과 정부ㆍ사회 공동책임이라는 생각과 노후를 스스로 준비해야 한다는 가치관이 점차 뚜렷해지면서 65세 이상의 노후준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서울시민들은 노인복지를 위해 더 많은 세금추가부담에 찬성한다는 견해가 소폭이지만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부모 부양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면 부모님의 노후생계에 대해 ‘가족이 전담해야 한다’는 응답비율은 2006년 60.7%에서 2010년 2분의1 수준인 30.4%로 감소한 반면, ‘가족과 정부ㆍ사회의 공동책임이다’라는 견해는 같은 기간 29.1%에서 51%로 늘었다.

또한 노부모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견해도 7.7%에서 15%로 늘었다.

이같은 가치관 변화에 따라 서울의 65세 이상 중 노후생활자금 마련을 위해 준비를 하고 있다는 응답이 2007년 35%에서 지난 해 47.1%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노후 준비방법(중복응답)으로는 보험(47.2%), 은행저축(45%)이 가장 높았으며, 공적연금(36%), 개인연금(17.3%), 현재 주택규모를 줄여 발생하는 수익을 활용(16.2%), 자녀가 노후를 책임질 것(13.7%), 부동산투자(12.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