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부동의 1위…결선투표 여부에 관심
민주당 당원들, 모바일불공정 경선 중단 요구
이영란 기자
| 2012-09-09 10:58:00
[시민일보] 민주통합당 대통령선거 후보 선출을 위한 지역 순회경선이 '후반전'으로 접어들면서 '결선투표'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민주당은 오는 16일까지 치러지는 순회 경선에서 과반 이상 지지를 얻은 후보가 없을 경우 1·2위 후보가 1번 더 결선투표를 진행한다.
지난 8일 오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지역 경선에서는 문재인 후보가 1만8135표(득표율 66.26%)를 획득해 현재까지 진행된 경선에서 '9연승'을 기록했다. 이날 문 후보가 얻은 득표율은 제주 경선(59.81%)에 이어 가장 높아 '대세론'에 탄력을 받는 양상이다.
문 후보는 부산 경선에서의 선전으로 누적 득표율을 지난 광주·전남 경선 46.806%에서 49.10%까지 끌어 올렸다. 이에 따라 향후 진행되는 경선에서 '대세론'을 이어나가 과반 득표를 확보한다면 결선투표 없이 경선을 마무리할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손학규 후보가 부산 경선에서 2726표(9.96%)를 기록, 누적특표율 24.061%로 문 후보를 추격하고 있으나 아직은 역부족인 상황이다. 그 뒤를 김두관·정세균 후보가 각각 5907표(21.58%, 누적득표율 19.107%)와 603표(2.20%, 누적득표율 7.732%)를 얻어 '상위권 진입' 싸움도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선두를 달리고 있는 문 후보는 수도권에서 누적득표율 50%를 넘겨 결선투표 없이 오는 16일 서울 경선에서 민주당 최종 대선 후보로 선출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반면 비문(비 문재인) 후보들은 수도권 경선에서의 문 후보의 과반 득표를 저지, 결선투표에서 역전의 기회를 노리고 있다.
이제 민주당 경선 일정은 세종·대전(9일), 대구·경북(12일), 경기(15일), 서울(16일)을 남겨놓고 있다.
현재 경기지역 선거인단은 14만8520명, 서울지역은 15만3676명으로 각각 집계됐다. 또 서울 지역 경선 기간동안 진행되는 해당 지역 주소 불일치자 및 모바일 투표자, 제주·울산 재투표자 등까지 합치면 총 57만여명에 달한다.
이는 전체 선거인단의 53%에 달하는 규모로 앞선 11곳의 선거인단을 모두 합친 것보다 많다. 이 때문에 '수도권 표심'이 누구에게 향할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서는 문 후보의 독주로 경선 흥행에는 실패했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경선 흥행 실패에 더해 범야권 유력대선주자인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 이슈에 묻혀 국민적 관심을 끌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앞서 지난 6일 민주당 텃밭이라고 할 수 있는 광주·전남 지역의 경선 당일 안 원장 측 금태섭 변호사가 "새누리당 측으로부터 대선 불출마 협박을 받았다"고 주장해 광주·전남 경선에 쏠린 관심이 분산됐다.
한편 민주당 대선후보선출 경선대회장에서 일부 당원들이 최근 모바일 경선 관련, 불공정 경선 중단을 요구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지난 8일 오후 민주통합당 18대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부산 경선대회장에는 정권교체를 원하는 전국 민주통합당 당원 일동이 당원권리 회복을 위한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국민과 당원을 기만하고 모바일 선거의 불법불공정 문제를 알면서도 이를 외면하는 친노 기득권 세력과 당지도부에 개탄을 금할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이들은 불공정 경선의 즉각 중단과 당원의 권리가 보장되는 경선 방식으로 남은 경선을 추진할 것과 이해찬 당 대표에 대해 당 분열의 책임을 지고 사퇴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특히 모바일 선거 사업체 선정 비리의혹 해명과 선거인단 모집 관리 데이터와 전산 시스템 관리체계, 전화통화 시스템에 대한 모든 자료 공개를 요구했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현행 경선관리 위원회를 해체하고 '비상 경선관리 위원회'를 구성해 남은 경선을 신뢰받을 수 있는 경선이 되게 하라고 요구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