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장애인 24시간 활동보조인제 시행하라"
박경성 장애인차별철폐연대대표
뱃라
| 2012-10-30 14:33:00
"예산 부족 말도 안돼… 1조 예산 확보 필요"
"35만명 원하지만 3만8000명만 이용… 자부담금 한달 14만원"
"35만명 원하지만 3만8000명만 이용… 자부담금 한달 14만원"
[시민일보]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박경성 대표가 방치된 중증장애인들의 참변이 잇달아 발생한 것에 대해 "중증장애인에게는 24시간 활동보조인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경성 대표는 30일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4대강에 그렇게 많은 돈을 투자하면서 예산이 부족하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지역사회에서 기본적 권리를 이야기하면서 중증장애인들이 기본적으로 살아갈 수 있게 만드는 것에 돈문제를 이야기 한다는 것은 너무나 반 인권적이고 가슴 아픈 이야기다"라고 비판했다.
그는 故 김주영 씨의 죽음에 대해 "불이 났을 때 그때 만약에 활동보조인이 있었다면 이렇게 피해 보지도 못하고 혼자서 불길에서, 그 뜨거운 불길에서 그렇게 죽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정부가 제공하고 있는 활동보조서비스 실태에 대해 "보건복지부는 장애등급제를 통해서 1급 장애인에게만 활동보조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1급장애인 중에서도 활동보조인증점수조사표라고 해서 그 조사표에 일정 정도의 점수를 통과해야지만이 활동보조 시간을 제공하고 있다. 그래서 필요한 사람은 35만명 정도가 나타나고 있는데 그 중의 5만명 밖에 제공하지 못하는데, 그 중에 3만6639명이 이제 실제로 받고 있다. 그러니까 이용률은 74%에 불과하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사회자의 '자격이 되는데도 안 받는 1만여명은 왜 그런가'라는 질문에 "본인 자부담 때문"이라며 "이 제도가 시작됐을 때는 아무리 많이 받아도 4만원 이상을 초과하지 못하게 상한제한선이 있었지만,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서 2010년도에 자부담을 두 배로 늘렸다. 그래서 최고상한을 8만원으로 늘려주니 2011년도에 법제정하면서 거기에다가 최고 15%까지 받게 됐다"고 답변했다.
이어 그는 "추가금액에 자부담까지 생각하면 한 14만1000원 정도가 자부담을 해야지만 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끔 돼버렸다"며 "노동시장에서 배제되고 혼자서 자립생활하기 위해서 이렇게 나와서 살아가려고 하는 사람에게 14만원이라는 돈은 어마어마한 돈이다"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주영씨 같은 경우 최중증 장애인이기 때문에 많이 받는 사람 중의 한사람인데도 불구하고 하루에 한 10시간, 12시간 정도만 받을 수 있다"며 "2005년도 겨울 경남 함안에서 중증장애인이 수도관이 터져서 집에서 혼자서 자다가 얼어 죽었고, 또 바로 얼마 전에도 호흡기를 하고 잘 수밖에 없는 중증장애인이 밤에 혼자 자다가 호흡기가 빠져서 제대로 줍지 못해서 죽은 경우도 있다. 도와줄 수 있는 활동보조인이 있었다면 죽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또 그는 "장애인들을 24시간 보호하겠다고해서 시설로 보호하고 있다. 한 방에 예를 들어서 5, 6명 많게는 20명을 모아놓고 평생을 살라고 한다면 아무리 중증장애인이라도 그 시설 자체가 어떻게 인권적이라고 할 수 있겠느냐. 최소한의 양심이고 기준이라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