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사회적 약자기업 판로지원
물품구매·용역발주도
전용혁 기자
| 2013-02-25 17:44:00
[시민일보] 서울시가 올해 사회적 약자기업의 물품이나 용역 등 구매 규모를 지난 해보다 6% 증가한 3조6010억원까지 확대한다.
시는 올해 시, 16개 투자ㆍ출연기관, 25개 자치구의 1년치 총 구매 규모 중 70% 이상을 사회적 약자기업에서 구매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시는 지난 해부터 우선구매 실시 등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중증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 사회적기업, 장애인기업, 자활기업, 여성기업, 기타 중소기업을 ‘희망기업’으로 정하고 서울시의 구매력을 활용해 지원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단순히 물품ㆍ서비스 등을 구매해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약자기업의 민간 시장 판로확보를 위한 다양한 채널의 유통망 구축과 자생력ㆍ경쟁력 제고를 위한 종합 지원프로그램을 투트랙으로 추진, 취약계층 일자리를 늘리고 사회적 기업 등이 추구하는 착한 가치들이 우리 사회에 확산되도록 돕는다는 계획이다.
우선 제품 구매지원에 있어 시는 지난 해 구매실적으로 분석해 ‘중점관리 기업’이 주로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구매를 늘려 파급효과를 최대화 할 계획이다.
'중점관리기업‘은 희망기업 중에서도 취약계층을 많이 고용하는 등 기업 활동의 사회ㆍ경제적 파급 효과가 큰 중증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 사회적기업과 자활기업을 말한다.
시의 주요 구매 품목 중 희망기업의 진입이 가능한 부분을 찾아 납품을 유도하고 한 기업에서 대규모 생산이 어려운 점을 감안해 대규모 구매라도 쪼개어 구매할 수 있는 건에 대해서는 여러 기업으로 분리 발주를 추진한다.
특정품목에 대해서는 중점관리기업의 제품만을 구매하도록 의무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또 사회적 약자기업의 자생력 강화와 민간 시장 판로확보를 위한 종합지원책으로는 ▲입찰 탈락 기업 실패원인 분석ㆍ지원 ▲연간 구매 정보 사전 공개 ▲공공구매지원센터 설치 ▲온라인ㆍ모바일ㆍ케이블 채널 활용한 유통판매망 확대 ▲희망 서울 구매 엑스포 개최 등을 추진한다.
별도의 영업조직을 갖추지 못한 영세한 기업들이 발주시기를 예측하고 미리 입찰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시의 연간 구매 정보를 미리 제공한다.
27일 올해 공사 발주계획이 재무국 홈페이지에 공개될 예정이며, 물품과 용역의 발주 정보도 단계적으로 공개된다.
시 관계자는 “서울시의 구매력을 희망기업, 특히 중점관리기업에 집중함으로써 사회적 약자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것”이라며 “여기에 민간기업과 시민들이 구매할 수 있는 유통판매망을 확대해 희망기업들이 한층 더 성장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환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