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국조, 2차 청문회 열려
댓글녀, 윗선 지시 의혹 전면 부인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3-08-19 16:06:30
이종명 전차장, 선거개입의혹 일축
권은희, “서울청, 키워드 줄여달라는 지시 있었다”
[시민일보]국정원 댓글 의혹 사건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는 19일 오전 10시부터 2차 청문회를 열고, 국정원 전·현직 직원을 비롯해 경찰 관계자 등을 상대로 신문에 들어갔다.
그러나 이날 청문회에서 증인들의 증언이 서로 엇갈려 실체적 진실에 접근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실제 국정원 댓글 사건의 중심에 있는 국정원 직원 김모씨는 대통령 선거에 영향을 주기 위해 윗선의 지시를 받고 댓글을 작성했다는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이종명 전 국가정보원 3차장도 대통령 선거 개입 의혹을 부인했다.
다만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이 서울경찰청으로부터 댓글 검색 키워드를 줄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을 뿐이다.
우선 ‘댓글녀’로 알려진 김씨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국정원 댓글 의혹 사건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2차 청문회에 출석해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이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나 국정원 차장으로부터 지난 대선 당시 박근혜 후보를 지지하고, 야당 후보를 반대하는 댓글을 올리라는 지시를 받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런 지시를 받은 적이 없다"고 밝혔다.
김씨는 사이버상에서 댓글 활동을 인정하면서도 댓글 작성 배경에 대해서는 "북한과 종북 세력의 선전·선동에 대응하기 위한 활동이었다"고 해명했다.
특히 그는 검찰 공소장에 '국정원의 조직적 선거 개입'이라고 적시된 데 대해서는 "정치 개입 내지는 선거 개입이라는 인식을 갖고 활동을 한 적이 없었다"고 일축했다.
그는 또 "이번 대선에서 여당 후보가 당선, 야당이 낙선돼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 들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종명 전 국가정보원 3차장도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청문회에 참석해 "분명히 말하지만 어떤 대선개입 지시라든가 의혹을 받을만한 활동을 전혀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참담한 심정이다. 지금 청문회 장면은 국민뿐 아니라 북한도 보고 있다. 세계 곳곳에서 암행하는 간첩, 종북세력도 보고 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북한과 추종세력들의 사이버상에서의 위협을 인식하고 국정원에 힘을 실어주실 것을 호소 드린다"고 말했다.
이 전 차장은 또 "첨언하자면 국정원 사이버 심리전단 개편 의도가 불순하다고 (지적)했지만 이에 전혀 동의할 수 없다"고 항변했다.
특히 이 전 차장은 북한의 사이버상 활동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그는 "36년 군 생활 후 국정원에 부임해 느낀 것은 사이버상에 첨예한 이념전선이 있다는 것이다. 사이버상 전선은 위험한 상태에 이르렀다"며 "의원님 중에서 제 말씀에 동의하지 않는 분이 있다면 이후 언제든지 피씨방에 가서 1~2시간만 주시면 얼마나 치열하게 (북한의 사이버활동이)전개되고 있는지 보이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정원이 만약 이런 역할을 하지 않았다면 사이버상은 어떻게 됐겠냐. 북한 사이버 활동이 대한민국 정부 정책을 주제로 하고 있고 대부분이 안보이슈 관련 글"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권은희 전 과장은 "15일 새벽까지 수서서 수사팀 수사를 하고 늦은 귀가를 하는 도중에 지능팀 직원으로부터 전화가 왔다. 서울청에서 키워드를 줄여달라고 했다"고 진술했다.
이어 "키워드 축소는 수사 축소를 의미해 당시 직원에게 '과장이 퇴근해서 없다는 핑계로 키워드를 축소하지 말아달라'고 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그러면서 그는 "수서서 수사팀은 범죄 사실과 관련성 있는 단서를 찾아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고 당시 수서서의 입장을 전했다.
특히 그는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의 위증사실을 폭로했다. 김 전 청장이 국정원 여직원 오피스텔 압수수색 영장 신청을 방해한 정황도 드러났다.
권 전 과장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청문회에 참석해 민주당 박영선 의원의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이 12월12일 권 전 과장에게 격려전화를 한 것을 부인했다. 이 증언이 거짓말이냐'는 질문에 "거짓말이다"라고 답했다.
통화 내용과 관련해 권 전 과장은 "12일은 (국정원 여직원 김하영의)오피스텔에서 철수한 이후 수사팀에서 압수수색 영장 청구 방침을 정하고 준비를 하고 있던 시기"라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권 전 과장은 "지능팀 업무를 보고 있는데 김용판 전 서울청장이 전화를 해서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 (당시 김 전 청장이)'내사사건인데 압수수색을 신청하는 것은 맞지 않다. 영장을 신청했는데 검찰이 기각하면 어떻게 하느냐'라고 말했다"고 구체적인 통화내용을 소개했다.
한편 이날 청문회에는 박원동 전 국가정보원 국익정보국장과 감금 의혹 사건의 주인공인 국정원 여직원 등 국정원 관계자 5명을 비롯해 26명의 증인이 출석했다.
27명의 증인 가운데 전 국정원 직원인 백종철씨는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경찰의 댓글사건 수사 축소·은폐 의혹과 관련된 인사들도 모습을 드러냈다. 최현락 전 서울경찰청 수사부장과 이병한 전 서울경찰청 수사과장, 이광석 전 수서경찰서장,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 서울경찰청 분석관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이날 청문회에 출석한 국정원 직원들은 얼굴과 이름 등 신원 정보가 공개돼서는 안 된다는 직무 특성상 신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가림막을 설치하고, 커튼 속에서 증언을 하도록 했다.
국조특위는 이날 오전 증인을 상대로 신문을 실시한 후 오후 4시30분부터 1시간30분 동안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 등 6명의 참고인 등을 상대로 신문을 진행할 계획이다.
출석 증인은 ▲이종명 전 국정원 3차장, 박원동 전 국정원 국익정보국장, 민병주 전 국정원 심리정보국장, 최00 국정원 팀장, 김00 국정원 직원(감금 의혹 사건 당사자) ▲최현락 전 서울경찰청 수사부장, 이병하 전 서울경찰청 수사과장, 김병찬 서울경찰청 수사2계장, 이광석 전 수서경찰서장,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 박정재 전 서울경찰청 디지털증거분석팀장, 장병덕·김보규·김하철·임판준·한동섭·김수미·박진호·최동희·장기식(이하 디지털증거분석팀 직원) ▲강기정 민주당 의원, 정기성 국정원 전 직원, 김상욱 국정원 전 직원(매관매직의혹 당사자), 유대영(김부겸 전 의원 보좌관), 조재현(오피스텔 출동 전 경찰관), 선승진(선관위 직원) 등 26명이며, 백종철(김상욱 회계책임자)씨는 불출석 사유서 제출하고 출석하지 않았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