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문종, 이석기 사태 ‘민주-친노 책임론’ 제기
민주당, “상투적, 매카시즘적 사고 버려라” 반발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3-09-03 11:48:37
[시민일보]내란 음모 혐의를 받고 있는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 사태와 관련해 민주당 책임론과 함께 친노(親盧, 친 노무현) 책임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새누리당 홍문종 사무총장은 3일 이석기 의원은 노무현 정권에서 사면 복권이 되었고, 야권연대를 통해서 국회의원이 됐다고 ‘민주-친노 책임론’을 제기했다.
홍 총장은 이날 새누리당 원내대책회의에서 “통진당에 13석을 안긴 민주당은 역사와 민족 앞에 반성해야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 의원은 민혁당 사건으로 2002년 2년6개월의 형을 선고받았지만 2003년 광복절 특사 때 가석방 됐고, 2005년에 다시 사면 복권됐다. 그로 인해 피선거권을 박탈당하지 않았고, 특히 4.11 총선 당시 민주당과의 야권연대로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2번인 이 의원이 국회의원에 당선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홍 총장은 같은 날 TBS <열린아침 송정애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이석기 라는 의원이 어떻게 지금 국회에 들어오게 되었는가 생각하면 참 속상한 일”이라며 “사면복권이 되지 않았으면 (피선거권이)박탈돼 있었을 것이고 그렇다면 정계에 진출하는 데 있어서도 많은 문제가 있지 않았겠느냐, 또 통진당 독자적으로 국회에 들어오기에는 굉장히 어려운 세력이었는데, 야권연대를 통해서 들어 온 게 아니냐”며 “노무현 정부나 민주당이 잘못을 한 것 같고, 잘못을 하지 않았더라도 최소한 신중하지 못하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홍 총장은 또 당내에서 이석기 의원의 제명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만약 국정원에서 적시한 이런 문제들이 사실이라고 하면 당연히 제명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홍 총장은 같은 날 <한수진의 SBS 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이석기 의원의 체포동의안 처리 문제와 관련해 민주당이 ‘정보위를 열어서 국정원이 확보한 녹음 파일이나 동영상에 대해 검증하는 절차를 갖자’고 주장하는 데 대해 “어떻게든 시간을 벌어서 이석기 의원을 체포 안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 않나, 생각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약간 꼼수가 있는 것 아닌가. 이런 생각이 들 정도로 이해가 안 가는 측면이 있다”고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또 “국가 전복을 기도 하고, 무장 봉기를 주장하고, 이런 분들은 제가 볼 때 국회에 있을 자격이 없다고 생각한다. 당연히 그만 두셔야 된다”고 이 의원의 국회의원직 자진사퇴를 촉구하기도 했다.
이어 그는 “통진당도 이석기 의원을 비롯한 주요 인사들의 혐의가 확정되면 자발적으로 해체 수순을 밟아야 하는 것이고, 아니면 나라에서 해체 수순을 밟아주어야 하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통진당 해체를 강조했다.
그는 ‘법적으로 당 해산까지 가는 것은 쉽지 않은 일 아니냐’는 질문에 “쉽지 않은 일이지만 이석기 의원을 포함한 당 주요 인사들이 정말 이 일에 가담했고, 사실이라면 대한민국 체제를 부정하는 정당인데 무슨 필요가 있느냐”고 반문하면서 습니까. “대한민국 체제를 부정할 뿐만 아니라 전복하고 내란을 음모한 그런 정당이라면 없애는 것이 당연한 수순”이라고 답변했다.
하지만 민주당 박지원 의원은 이날 오전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출연, "새누리당은 상투적으로 모든 야당을 종북세력으로 몰아붙이는 그런 정당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고의 가치도 없는 것에 대꾸할 가치도 없다"며 "새누리당은 집권당으로서 매카시슴적 사고를 버려야 한다"고 비판했다.
민병두 민주당 전략홍보본부장도 ‘민주당 책임론’은 말도안되는 얘기라 강변했다. 민 본부장은 “이석기 의원은 비례대표다. 지역구 의석을 양보해 그가 국회의원이 됐다면 민주당 책임론을 꺼낼 수 있겠지만 상황이 다르다”며 “정당 득표로 이 의원이 당선됐다는 것을 고려하면 새누리당의 득표 부족이 그를 당선시켰다는 논리도 성립하게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청래 의원도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민주당 책임론'에 대해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에 대해 문제점이 많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없었는데, 그 반대를 무릅쓰고 박근혜 대통령이 윤 전 대변인을 대변인으로 임명했다. 결과적으로 미국에 가서 성추행 사건을 일으켰고 국제적 망신을 당했다면 '박 대통령이 국가적 망신을 시킨 것에 대해 연대해서 책임져야 되는 것 아니냐'라고 되묻고 싶다"고 반박했다.
이어 "민주당은 건전한 진보세력과 연대를 한 것이지, 이 의원과 연대한 것은 아니다"면서 "그 연대에 도장을 찍었던 사람은 한명숙 전 대표와 이정희 대표인데 이 대표도 국회에 못 들어오지 않았느냐. 그렇기 때문에 (새누리당의 주장은) 성립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또 민주당의 정보위 개최 요구에 새누리당이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는 데 대해 "지난 금요일(8월30일)에 국정원에서 '수사상황을 자세히 보고하겠다'고 알려왔다"며 "야당 정보위 간사한테 수사상황을 보고하겠다고 먼저 나올 정도면 국회 정보위를 열어 정보위에서 보고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상기 정보위원장이 '수사 중이기 때문에 보고받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하는 것은 앞뒤가 안 맞는 말"이라고 지적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