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8종 수정 권고… 與 "당연" 野 "부당"

김희정 "800여건 지적 중 578건이 7종에 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3-10-23 17:53:47

유기홍"교학사 검정 취소해야… 7종과 동렬 아냐"


[시민일보]여야가 교육부의 역사 교과서 8종에 대한 수정ㆍ보완 권고를 두고 공방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새누리당 김희정 의원은 23일 오전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문제가 많고 800건이나 문제가 밝혀졌기 때문에 당연히 이 왜곡을 그대로 우리 아이들에게 가르칠 수 없다”며 “이 수정 권고에 대해 당연히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학사의 우편향 왜곡을 물타기 위한 작전에 불과하다는 야당측 주장에 대해 “지금 지적돼 있는 800여건 중 578건 정도가 저희가 좌파 왜곡이라고 주장했던 7종 교과서에 있는데 이것을 고치지 않고 그냥 애들 손에 보내서 가르쳐도 된다는 얘기인지 거꾸로 되묻고 싶다”며 “교학사는 잘못된 부분이 많았지만 수정하겠다고 나섰는데, 다른 교과서들은 문제가 있음에도 고치지 않겠다고 버티고 있는데 과연 올바른 자세인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교과서를 검증하는데 있어 국가가 정한 검정기준, 집필기준이라는 게 있다. 물론 기준 자체를 가지고도 문제 삼는 경우도 있지만 국가가 제시한 기준을 가지고 교과서를 만들었기 때문에 각각의 입장에서 잘못했다, 잘 했다 얘기를 하는 게 아니라 이 기준에 맞게 교과서가 만들어졌는지를 가지고 해야지, 각각의 입맛에 맞게 얘기를 시작하면 제대로 된 역사를 가르칠 수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야당이 교육부가 수정ㆍ보완사항을 최종 검토한 자문위원회 명단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절차적 하자를 지적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검정 심사 과정 중에는 심의의원 명단을 공개하지 않는다. 심사 과정 중 자칫 외압에 의해 공정한 업무 수행을 방해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며 “이 검정심사 과정과 수정ㆍ보완 과정도 같은 기준으로 가야 된다. 그래서 현재 명단을 공개하지 않는 것 같고, 법적으로도 자문위원회 명단을 공개해야 된다는 의무조항이 없다. 이 수정ㆍ보완 작업이 끝난 후 그때 밝혀도 괜찮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 유기홍 의원은 “이미 검정을 몇 차례 통과해서 쓰고 있는 교과서들까지 갑자기 8종류를 동류로, 동렬로 간주해서 모두 수정하겠다는 이 절차 자체가 근본적으로 법령을 위반한 것이고 편법”이라며 “교학사 역사 교과서의 문제를 가리기 위해 갑자기 다른 7종 교과서의 문제점을 들고 나와 다같이 수정해야 된다는 건 옳지 않다”고 반박했다.
그는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교학사 역사교과서는 교과서로서의 제대로 된 품질을 갖추지 못한 교과서이기 때문에 취소하고 나머지 7종 교과서에 대해서는 자체 수정이라는 절차가 있다. 거기에 따라 사실 오류 등을 고쳐야 할 것”이라며 “8종을 같은 동렬로 놓고 보는 것은 잘못 됐다고 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번 교육부의 수정 작업 자체가 밀실에서 이뤄지고 자격 없는 사람들에 의해 이뤄졌고, 물타기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며 “저희가 국정감사 과정에서 검정 위원장을 증인으로 신청을 했는데 여당이 안 받아들였고 회의록, 채점표를 달라고 했는데 그것도 교육부에서 제출을 안했다. 검정과정의 총체적인 부실이고, 그러다보니 오류가 있는 상태로 검정 합격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여기에 대해 저희가 문제제기를 하니까 교육부가 부랴부랴 역사를 전공한 행정 직원들 12명이 다섯 차례 모여 검토했다는 것인데, 이건 정말 놀라운 일”이라며 “검정작업이든지, 교과서 수정작업이든지 법령에 따라 자격을 갖춘 사람들이 해야 하는데 교육부내 역사를 전공한 행정직원들이 모여서 일을 했고, 그 사람들은 누군지 밝힐 수도 없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