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원 총리 "日 침략이냐 진출이냐"에 즉답 회피 논란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3-11-27 15:15:17
도종환 의원, “용어 하나의 문제가 아니라 관점의 문제”
이명희 교수, “민주당, 교학사 교과서에 균형적 시각 갖고 있지 않아”
[시민일보] 정홍원 국무총리가 지난 25일 실시된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역사교과서 문제와 관련, ‘일본의 침략인가, 진출인가’를 묻는 야당 의원의 질문에 ‘용어 문제에 문제가 있다면 검증 위원회와 심사단에 맡겨달라’고 즉답을 피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당시 질의자였던 민주당 도종환 의원은 27일 오전 SBS <한수진의 SBS 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상식적으로 대한민국 국민이면 일본 자본이 조선에 진출했다고 하는 것이 맞느냐, 침략했다고 말하는 것이 맞느냐 이런 부분은 바로바로 대답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교육부의 시정 조치가 있을 것이라고 하면서 사태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역사교과서가 친일을 미화하고 옹호하는 입장에서 쓰였다는 것을 총리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렇게 학생들을 가르치면 안 된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은데 계속 제대로 된 답변을 하지 않고 회피하고 있다”며 “저도 답답했을 뿐 아니라 지켜보던 다른 의원들도 감정이 격앙됐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이어 논란이 되고 있는 교학사 교과서에 대해 “용어 하나의 문제로 축소돼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로는 관점의 문제”라며 “의병을 다른 교과서에서는 체포했다, 학살했다, 만행을 저질렀다고 돼 있는데 이 교과서에서는 학살이라는 용어 대신 토벌, 이런 일본의 관점에서 그 부분을 기술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게 식민지 근대화론을 바탕으로 썼기 때문에 식민지 근대화론을 토대로 하면 식민지 필연론으로 기술하게 된다”며 “이 과정에서 당연히 친일을 미화하게 되고 우리가 일제 침략기에 민족적 고통과 수난을 당하면서 저항하고 독립운동을 하고 그 이후 반독재 민주화 운동을 하고 이런 식의 기술은 자학사관이라고 보고 이것을 긍정적인 역사관으로 바꿔야 한다는 관점에서 기술을 하니까 문제들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교학사 교과서 집필자인 이명희 공주대 교수는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7종 교과서 모두가 회사령 철폐와 관련된 부분에서는 전부 일본 자본의 진출이라고 해 놓았다”며 “일본 자본이나 혹은 일본의 진출이라고 한 것에 대해서는 다른 교과서들이 더 많이 그렇게 서술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다른 교과서들도 바꿔야 하는 것 아닌가’라는 질문에 “꼭 바꿔야 하기 보다는 1910년대 같으면 이미 일본 열도와 한반도가 하나의 통치 체제속으로 들어가 있는 시기”라며 “이 때 회사령이라고 하는 것이 한반도에 한해서만 적용이 됐는데 그것이 철폐해서 자본의 왕래가 용이하도록 만든 것이다. 이 사실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것이 무슨 일제의 진출이냐, 침략이냐, 이렇게 얘기하는 것 자체가 넌센스”라고 질타했다.
그는 교학사 교과서에 대한 야당 의원들의 지적에 대해 “교학사 교과서에 대해 보는 눈이 일단 균형적이지 않은 것 같다. 교학사 교과서가 나오기 전부터 교학사 교과서에 대해 친일, 독재 미화 교과서라고 딱지를 붙이고 검정 통과시키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며 “그런 입장에서 이 교과서를 보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대로 들으면 안 된다. 그런 입장도 감안할 때 균형 있는 논의가 될 수 있고 생산적으로 토론이 될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용혁 기자
이명희 교수, “민주당, 교학사 교과서에 균형적 시각 갖고 있지 않아”
[시민일보] 정홍원 국무총리가 지난 25일 실시된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역사교과서 문제와 관련, ‘일본의 침략인가, 진출인가’를 묻는 야당 의원의 질문에 ‘용어 문제에 문제가 있다면 검증 위원회와 심사단에 맡겨달라’고 즉답을 피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당시 질의자였던 민주당 도종환 의원은 27일 오전 SBS <한수진의 SBS 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상식적으로 대한민국 국민이면 일본 자본이 조선에 진출했다고 하는 것이 맞느냐, 침략했다고 말하는 것이 맞느냐 이런 부분은 바로바로 대답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교육부의 시정 조치가 있을 것이라고 하면서 사태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역사교과서가 친일을 미화하고 옹호하는 입장에서 쓰였다는 것을 총리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렇게 학생들을 가르치면 안 된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은데 계속 제대로 된 답변을 하지 않고 회피하고 있다”며 “저도 답답했을 뿐 아니라 지켜보던 다른 의원들도 감정이 격앙됐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이어 논란이 되고 있는 교학사 교과서에 대해 “용어 하나의 문제로 축소돼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로는 관점의 문제”라며 “의병을 다른 교과서에서는 체포했다, 학살했다, 만행을 저질렀다고 돼 있는데 이 교과서에서는 학살이라는 용어 대신 토벌, 이런 일본의 관점에서 그 부분을 기술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교학사 교과서 집필자인 이명희 공주대 교수는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7종 교과서 모두가 회사령 철폐와 관련된 부분에서는 전부 일본 자본의 진출이라고 해 놓았다”며 “일본 자본이나 혹은 일본의 진출이라고 한 것에 대해서는 다른 교과서들이 더 많이 그렇게 서술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다른 교과서들도 바꿔야 하는 것 아닌가’라는 질문에 “꼭 바꿔야 하기 보다는 1910년대 같으면 이미 일본 열도와 한반도가 하나의 통치 체제속으로 들어가 있는 시기”라며 “이 때 회사령이라고 하는 것이 한반도에 한해서만 적용이 됐는데 그것이 철폐해서 자본의 왕래가 용이하도록 만든 것이다. 이 사실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것이 무슨 일제의 진출이냐, 침략이냐, 이렇게 얘기하는 것 자체가 넌센스”라고 질타했다.
그는 교학사 교과서에 대한 야당 의원들의 지적에 대해 “교학사 교과서에 대해 보는 눈이 일단 균형적이지 않은 것 같다. 교학사 교과서가 나오기 전부터 교학사 교과서에 대해 친일, 독재 미화 교과서라고 딱지를 붙이고 검정 통과시키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며 “그런 입장에서 이 교과서를 보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대로 들으면 안 된다. 그런 입장도 감안할 때 균형 있는 논의가 될 수 있고 생산적으로 토론이 될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용혁 기자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