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무원 親盧, 반성부터 하라

고하승

gohs@siminilbo.co.kr | 2013-12-18 08:49:19

편집국장 고하승

요즘 친노(親盧, 친 노무현) 세력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대선 1주년을 앞두고 대규모 송년행사를 여는가하면, 친노 핵심인 민주당 문재인 의원은 최근 ‘북콘서트’를 여는 등 사실상의 때 이른 대선행보를 시작했다.

이를 단순히 정치적 야욕이 있는 사람들의 욕망이나 몸부림으로 치부하기에는 문제가 너무나 많다.
특히 친노 인사들의 최근 발언이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참여정부 시절 보건복지부 장관까지 지낸 유시민 전 의원은 최근 노무현재단 송년행사에서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의 내란음모 혐의와 북한 장성택의 국가전복음모 사건은 동일한 죄명을 가진 같은 사건”이라고 말했다.

한발 더 나아가 유 전 의원은 "지금 (남과 북은 )위대한 수령의 손자가, 반인반신(半人半神)의 따님이 다스리고 있다"며 사실상 북한의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과 대한민국의 박근혜 대통령을 동일 선상에 놓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아무리 지난 대선에서 친노 문재인 후보가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한 것이 너무나 분하고 억울하다고 해도 이건 아니다.

어떻게 이석기 사건과 북한의 장성택 사건이 동일한 사건일 수 있겠는가.

이석기 의원의 문제는 국가부정 세력에 대해서 명백히 죄를 묻고 있는 것이다. 범죄혐의와 관련된 녹취 내용도 있다. 그리고 지금 현재 재판 계류 중에 있고 기소가 되어 있는 상태다. 따라서 사법부가 이 문제를 엄히 다루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특히 권력이 세습되는 북한하고 국민의 투표에 의해 대통령이 선출되는 우리나라를 비교하는 것 자체가 이치에 맞지 않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홍문종 사무총장이 “3대 독재체제 구축을 위해 2인자를 숙청한 일과 대한민국 체제 수호를 위해 국가전복 세력을 수사하려는 것을 동일 선상에서 인식하다니 기가 막힌 노릇”이라며 “국민들 머릿속에 ‘친노’는 폐족 이상도 이하도 아닐 것”이라고 쏘아붙인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민주당 내부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민주당 조경태 최고위원은 유 전 장관의 발언에 대해 “부적절한 발언”이라며 “한마디로 국민들을 우습게 보는 발언”이라고 맹비난했다.

이어 그는 “본인(친노)들 모임 하는 것은 자유지만 장하나 의원이나 유시민 전 의원의 발언들이 과연 민주당과 국민들에게 무슨 도움이 되겠는지에 대해서 고민을 해봐야 한다”며 “그런 발언들이 현재 민주당의 지지율을 떨어뜨리고 있다”고 쏘아붙였다.

특히 그는 “자기들끼리 세력화 하겠다고 하면 자기들끼리 국민들로부터 심판을 받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꼬집었다. ‘자기들끼리’는 분당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사실상 친노세력이 탈당했으면 좋겠다는 우회적인 표현으로 해석된다.

같은 당 손학규 상임고문도 지난 16일 동아시아미래재단의 '송년 후원의 밤' 행사에서 문 의원과 친노 진영의 행보에 대해 "지금 우리가 할 일은 국민이 참으로 어려운 데 무엇을 할 것인가 생각하는 것이다. 그게 도리"라고 에둘러 비판했다.

무소속 안철수 의원 측도 친노 세력에 대해 비판적이다.

안 의원의 신당 창당 준비기구인 ‘새정치 추진위원회’ 이계안 공동위원장은 “작년에 대통령 선거를 치를 때 야당 진영은 모든 역량을 합했지만 졌지 않느냐”며 “진 것에 대한 제1 책임이 누구한테 있는 가를 굳이 따진다면 문재인 후보였다”고 ‘문재인 책임론’을 직접 거명했다.

새누리당의 집중포화로 휘청거리는 판에 민주당 비노 진영에서는 은근히 친노 세력이 나가주기를 바라는 모양새이고, 안철수 진영에서는 친노 그룹이 몰려와도 그다지 반길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이래저래 친노계는 지금 고립무원(孤立無援)에 놓여 있다.

그런데도 스스로를 돌아보고 반성하기는커녕 여전히 남 탓만 하고 있으니 답답할 노릇 아닌가.
지금 친노가 국민으로부터 외면당하는 것은 새누리당 때문도 아니고, 안철수 의원 때문도 아니다. 민주당 비노 진영 때문은 더더욱 아니다. 스스로를 ‘폐족’이라고 칭하면서도 반성하지 못하는 친노계의 모습이 국민들로 하여금 버림을 받게 만들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기 바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