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의 1000배 속도’ 5G, 2020년 상용화

정부, 1조6000억 들여 기술 개발 추진… 일자리 1만6000개 창출효과

뉴시스

| 2014-01-22 15:18:48

정부가 4세대 이동통신인 롱텀에볼루션(LTE)보다 1000배 빠른 5세대(G) 이동통신 주도권을 잡기 위해 핵심서비스를 발굴하고 상용화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2020년까지 민간과 공동으로 1조6000억원을 투자해 1만6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단말시장 1위, 장비시장 점유율 20%, 국제 표준특허 경쟁력 1위 등을 이룰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2일 개최된 제3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미래 이동통신 산업발전전략(Creative 5G Mobile Strategy)’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5G 시장 조기 활성화 ▲5G 표준화 글로벌 공조 ▲도전적 연구개발(R&D) 추진 ▲스마트 신생태계 조성 등이 추진 목표다.

2020년께 상용화 될 것으로 예상되는 5G 기술은 최근 유럽, 중국, 미국 등에서 관련 기술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수년 내 치열한 기술 경쟁단계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미래부는 지난해 5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사와 삼성전자, LG전자, 에릭슨-LG 등 제조사, 중소기업 등이 참여하는 ‘5G 포럼’을 창립했다.

이를 통해 미래부는 미래 SNS, 모바일 입체영상, 지능 서비스, 초고속 서비스, UHD·홀로그램 등 5대 핵심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해 단계별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시연할 계획이다.

표준화를 위해 글로벌 협력도 강화할 예정이다. 표준화 전 단계부터 유럽, 중국 등과 기술교류를 추진하고 국제공조를 통한 표준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 ‘모바일 광개토플랜’ 등 국내의 주파수 확보 계획을 반영해 글로벌 주파수를 확보하고, 6㎓ 이상 대역에서 신규 5G 후보대역을 발굴하는 연구를 추진한다.


이와 더불어 국제 표준특허 경쟁력 1위를 목표로 선도형, 글로벌 시장지향형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해외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추진하는 한편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장비, 단말, 서비스를 위한 전주기 기술사업화(R&BD)를 진행한다.

특히 국내 중소기업에 진입장벽이 높은 통신칩 개발을 위해 우수 기업을 중심으로 중장기적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웨어러블 단말, 스마트카, 스마트 교육 등 신규 시장 확대에 대비하고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분야를 선정해 중점 지원할 계획이다.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고, 중소기업, 대기업 간의 공생 발전이 가능한 모바일 신생태계를 조성한다. 5G 이동통신 R&D 등에 중소기업 참여비중을 확대하고, 중소기업의 시장창출을 촉진하는 제품화 개발을 지원한다.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2020년부터 2026년 간 5G 기기·장비의 수출을 통해 총 331조원의 매출과 국내 통신서비스부문에서 68조원의 시장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며 “민·관이 함께 힘을 모아 선도적 기술개발 및 활성화 등 정책을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미래부는 민간과 정부의 역량을 총체적으로 결집하기 위해 ‘5G 전략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전략적인 기술개발, 국제 표준화 대응 등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미래부 제2차관과 담당국장, 기재부, 산업부, 안행부, 국토부 등 관계부처 담당관, 이통사, 대기업, 중소기업, 5G포럼 대표, 외부전문가 등 산·학·연·관 전문가 20인 내외로 구성해 반기별로 위원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