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기초선거 무공천' 딜레마
무공천을 하자니 반대의견··· 안하자니 진정성 의심···갈팡질팡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4-02-11 18:09:25
시도지사-시도당위원장 "무공천 반대"··· 박원순등 일부 "찬성"
[시민일보]6.4 지방선거를 앞두고 그동안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를 주장했던 민주당이 딜레마에 빠졌다. 무공천을 시행하지 않으면 진정성을 의심받게 될 것이고, 무공천을 시행하자니 반대의견이 많아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는 처지가 됐기 때문이다.
김한길 대표가 11일 당 소속의 광역단체장 회의를 긴급 소집해 의견수렴에 나섰으나, 쉽지 않은 상황이다.
앞서 민주당 내부에서는 정치개혁특위에서 기초선거 공천 폐지가 성사되지 않을 경우, 민주당만이라도 무공천 실행해서 대선공약을 지키자는 의견이 제기됐다.
그러나 이날 참석자들 대부분은 무공천이 될 경우 대규모 탈당으로 인해 지방선거에 악영향이 미칠 수 있다며 반대의견을 제시하고 박원순 서울시장 등 일부만 찬성의견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1시간 가량 진행된 간담회에는 박원순 서울시장과 송영길 인천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강운태 광주시장, 이시종 충북지사 등 광역단체장들과 시도당 위원장단이 참석했다.
다만 그는 "새누리당이 (무공천을)하지 않는 상황에서 민주당만 (무공천)해도 되냐는 문제에 대해선 시도지사들이나 시도당위원장들 사이에서 혼란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현행 정당공천제가 유지될 경우, 정당 우선순위에 따라 번호(벽보 등 게재순위)를 받는다. 3월 창당 목표인 `안철수 신당` 등 의석을 가진 정당이 모두 공천한다면 새누리당 1번, 민주당 2번, 통합진보당 3번, 정의당 4번, 안철수 신당 5번 등을 받게 된다.
그러나 민주당만 `무공천`할 경우엔 투표용지에서 `기호 2번 민주당`이 빠지고, 후보자들은 5월 14일까지 탈당해야만 무소속으로 출마할 수 있다. 민주당 소속 출마자들은 지역마다 난립한 다른 무소속 후보들과 함께 무작위 추첨제로 기호를 받게 돼 그만큼 인지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