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 중단위기' 학생에 340억 지원

교육부, 올해부터 '학업중단 숙려제' 고교생서 초중학생까지 확대

서예진

syj08@siminilbo.co.kr | 2014-02-26 18:02:47

[시민일보]교육부가 올해 340억원의 예산을 편성, 학업중단 위기에 놓인 학생을 지원한다.

교육부는 우선 올해부터 의무적으로 실시되는 '학업중단 숙려제'를 고교생에서 초·중학생으로 대상을 확대해 80억원을 지원한다.

이에 따라 올해 학업중단 숙려제는 3만8000명의 위기학생을 대상으로 여행, 인성·진로캠프, 예체능·직업체험, 심리상담 등이 제공된다.

교육부는 특히 '대안교실' 1500개를 설치하고 위탁기관 111개 운영지원에 각각 69억원과 13억원을 지원하고, 상대적으로 학업중단이 심각한 학교(200개교)에 대해 학교당 1000만원씩 총 20억원을 지원한다.

학업 중단이 심각한 학교의 기준은 시·도 교육청별 최근 3년간 학업중단 학생이 평균 20명 이상 발생한 학교 중 여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학교가 대상이다.

교육부는 8억5000만원을 지원해 대학생, 직장인 등이 학업중단 위기학생의 멘토가 돼 위기 극복을 돕는 1000명 규모의 '꿈키움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와함께 학업중단 학생의 복귀를 위한 '희망 손잡기 프로젝트'에도 25억5000만원을 지원한다.

'희망 손잡기 프로젝트'는 학교를 떠난 뒤에도 다시 돌아올 수 있도록 시·도 교육청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돌보는 프로그램이다.


학업복귀 등 정보 제공, 방송중·고 운영 활성화, 검정고시 무료 과정 운영, 복지 서비스 지원 등 다양한 지원이 추진된다.

가정 위기 등으로 돌봄이 필요한 학생의 숙식, 대안교육 등 돌봄 기능 강화를 위해 가정형 Wee 센터 4개를 신설한다.

기존에 운영 중인 인천, 대전, 충북을 제외한 시·도 중 지원을 희망하는 교육청에 8억5000만원씩 총 34억원을 지원한다.

이밖에도 평가를 거쳐 선정된 우수교육청을 중심으로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선도모델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올해 우수교육청으로 선정된 인천, 울산, 대전, 부산, 경남, 경북, 전남 등 총 7개 교육청에 각 3억원씩 총 21억원을 지원한다.

우수교육청은 경제적 어려움, 또래 간 갈등, 진로 탐색 어려움, 학습 결손 등 다양한 학업중단 위기 요인에 맞춤형으로 대응할 수 있는 특화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해야 한다.

서예진 기자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