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되는 ‘안철수 현상’
고하승
| 2014-03-17 12:18:39
각종 여론조사 결과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창당을 서두르고 있는 통합신당 지지율이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17일 <리얼미터>의 3월 둘째 주 주간집계에 따르면, 정당지지율 조사결과, 새누리당은 전주보다 0.4%p 오른 48.2%를 기록한 반면, 통합신당은 1.1%p 하락한 37.2%에 그쳐 양당 격차는 11%p로 벌어졌다. 이어 통합진보당 1.4%, 정의당 1.2%였으며, 무당파는 10.7%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은 새누리당 45.6%, 통합신당 38.9%로 새누리당이 6.7%p 높았고, 경기/인천은 새누리당 44.1%, 통합신당 36.3%로 새누리당이 7.8%p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조사는 리얼미터가 지난 10~14일 닷새간 전국 성인 유권자 25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30%)와 유선전화(70%) 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조사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2.0%p, 응답률은 6.2%였다.
앞서 한국갤럽이 지난 10∼13일 전국의 만 19세 이상 남녀 1211명을 상대로 휴대전화 임의번호걸기(RDD) 방식으로 정당 지지도를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8%포인트) 결과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새누리당이 41%, 통합신당이 30%로 집계됐다.
이는 새누리당의 경우 지난주 39%에서 2%포인트 올라 40%선을 회복한 반면, 신당은 통합 발표 후 첫 조사인 지난 7일 31%에서 1%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특히 지역별 통합신당 지지도를 보면 서울이 지난주 36%에서 이번 주 29%로, 대전·세종·충청이 34%에서 25%로 각각 눈에 띄게 하락했다. 통합신당의 바람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심지어 리얼미터의 차기 대권후보 지지율 조사에서는 안철수 의원이 새누리당 정몽준 의원에게조차 밀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정몽준 의원이 18.8%로 1위를 기록했고, 안철수 의원은 17.1%로 정 의원에 밀려 2위에 머물렀다. 3위는 문재인 의원으로 11.4%였고, 이어 박원순 서울시장 8.9%, 김무성 의원 8.0%, 손학규 고문이 3.8% 순이었다.
한 때 돌풍을 일으켰던 ‘안철수 현상’이 민주당과의 합당선언으로 점차 소멸되고 있는 것이다.
새누리당 서울시장 후보 경선에 나선 김황식 전 총리가 "정치가 새롭게 변했으면 하는 요구가 '안철수 현상'으로 나타났었는데 이제 (민주당과의 합당으로 인해) 새정치라는 말조차 신뢰를 잃었다"고 지적한 것은 이 때문이다.
이인제 새누리당 의원도 "안철수 의원이 제도정치와 완전히 다른 정치를 해 보겠다고 하다가 기존 민주당과 통합했다"며 "안철수현상은 이제 사라졌다"고 평가했다.
박찬종 변호사의 평가는 더욱 혹독했다.
박 변호사는 “본인 입으로 새누리당과 민주당, 양강 구도의 진영 정치, 낡고 부패한 이 틀을 깨겠다, 그렇게 해서 100년 가는 정당을 만들겠다고 얘기를 해 놓고 그냥 합당해 버렸다. 그가 한 말을 하루 사이에 뒤집은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그러니까 시중의 얘기가 안철수 의원은 ‘철수 전문가’가 아닌가, 지난번 대통령 선거 때도 본인이 하는 것처럼 하다가 철수해 버렸고, 그 앞에는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나간다고 했다가 박원순 시장한테 양보해서 철수해 버렸고, 이번에는 새정치연합이 기세 좋게 나가는가하고 기대를 했는데 또 슬며시 철수해 버렸고, 그러니까 합당 과정에서 또 삐그덕 거리면 발을 뺄 수가 있을 것이다, 또 철수할 것이다. 이런 소리가 나온다”고 꼬집었다.
국민이 기대했던 ‘안철수 현상’이 점차 소멸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이로서 `안철수 현상`에 가려져 있는 `정치인 안철수`의 민얼굴을 국민들에게 보여줄 시간이 도래한 셈이다.
이제부터는 ‘안철수 현상’이 아니라 정치인 개인인 안철수의 리더십으로 6.4 지방선거에서 좋은 성적표를 받아 낼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과연 좋은 성적표를 받아 낼 수 있을지 의문이다.
안 의원이 여전히 ‘새정치’라는 용어에 집착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기초선거에서의 공천폐지 결정은 정당책임정치 구현이라는 차원에서 보자면 대단히 잘못된 선택이다.
그로 인해 여성과 장애인, 정치신인들의 지방정치 진출 기회가 완전히 차단당하고 말았기 때문이다. 뜬구름 잡는 것과 같은 ‘새정치’에 집착한 나머지 ‘정당 책임정치’라는 훌륭한 가치를 놓치고 만 것이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