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민련, 경기지사 후보경선 '공론조사투표50%+국민여론조사50%'방식 확정

김상곤·원혜영 "비상식" 반대vs. 김진표 "적절" 찬성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4-04-06 14:36:43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새정치민주연합이 '공론조사투표 50%+국민여론조사 50%' 방식으로 6·4 지방선거 경기지사 후보경선 시행규칙을 확정하자 예비후보 간 반응이 엇갈렸다.

경기도지사 예비주자인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과 원혜영(부천 오정) 의원 측이 "상식에서 벗어난 결정"이라며 반발한 반면, 김진표(수원정) 의원 측은 “본선 경쟁력을 살핀 적절한 조치”라며 반겼다.

6일 새정치연합 경기도당 등에 따르면 여론조사는 한국조사협회(코라)에 등재된 조사기관 가운데 2곳을 선정해 진행하되 표본은 1곳당 1000명씩, 모두 2000명으로 하고 유선과 휴대전화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각각 50%씩 반영하도록 했다.

조사에 참여하는 대상자에게는 나이와 주소만 질문하고 지지 정당은 묻지 않기로 했다. 또 '후보 경쟁력'이 아닌 '후보 적합도'로 질문하고, 후보자는 직위를 뺀 'OOO씨'로 이름만 표기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원혜영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통상적 여론조사의 상식적 전제인 '정당지지에 관한 질문'을 삭제한 것은 새누리당 지지자를 조사 모집단에 포함하는 전례 없는 방식"이라며 시정을 촉구했다. 과거 민주당은 지지자만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해왔다.

원 의원은 "야당의 후보 결정에 왜 여당지지자의 의견이 필요하냐"며 "만에 하나 이런 방식으로 이익을 기대하는 후보가 있다면 개탄스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김상곤 예비후보 측도 "상식을 벗어난 결정"이라고 우려했다.


김 후보 측 관계자는 "당이 공식적으로 의견을 수렴할 때 정리해서 전달하겠지만, 새누리당 지지자의 의견이 반영되는 것은 원칙에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반면 김진표 의원 측은 환영의사를 밝혔다.

김 의원 측 관계자는 "현재 당의 지지율이 20~30%에 불과한 상황에서 지지자만을 놓고는 경쟁력 조사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40%에 달하는 무당 층이 포함해야 당선 가능성을 따져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여당 지지자가 조사에 참여, 야당의 약체 후보에게 표를 던지는 이른바 '역선택' 우려에 대해서는 "여론조사 표본이 2000명이나 되고 조사도 2곳이 진행해 역선택의 문제가 불거지지 않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앞서 한국일보가 지난달 23, 24일 진행한 여론조사에서는 김진표 의원이 야권 후보 선호도에서 31.2%로 김상곤 후보(23.3%)와 원혜영 의원(20.1%)을 제쳤으나 지지층에서는 김상곤 후보가 40.2%의 지지를 받아 김진표(24.6%), 원혜영(17.3%) 의원보다 강세를 나타냈다.

조사는 경기 지역 유권자 708명을 대상으로 유선전화 임의걸기(RDD) 방식으로 실시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7% 포인트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