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 "鄭, 현대車 지분 처리입장 밝혀라"

鄭 "법에 정해진 원칙·절차 따르겠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4-04-13 12:25:45

김황식 측, 정몽중 '770만株 백지신탁' 거센압박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누리당 서울시장 경선에 나선 김황식 전 총리가 경쟁자인 정몽준 의원에게 '백지신탁' 관련한 입장표명을 촉구했다.

김 전 총리 측 최형두 대변인은 11일 보도자료를 통해 “새누리당 서울시장 예비후보 1차 토론회에서 정몽준 후보는 현대중공업 대주주 지분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해 뚜렷한 답변을 하지 않았다"고 포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정몽준 후보는 ‘현대중공업 대주주와 서울시장을 동시에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진지하게 답변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13일 최 대변인에 따르면 현대중공업 및 일부계열사들은 서울시의 인허가ㆍ계약ㆍ구매 등의 업무관계를 갖고 있다.

실제 현대중공업과 현대오일뱅크는 최근 5년간 53건 152억원의 물품구매계약을 서울시와 체결했다. 이중 서울시가 조달청에 의뢰한 것은 13건 총액 57억원에 불과하고, 나머지 40건 94억원은 서울시가 조달청 나라장터를 이용해 직접 계약 체결한 것이다.

또 현대오일뱅크는 현대중공업이 91.13%의 지분 보유한 계열사로, 직영주유소와 LPG 충전소의 경우 그 설치와 영업이 해당 지자체의 허가사항이다. 현재 현대오일뱅크의 주유소 충전소는 서울시내에 수십군데가 있다.

이에 대해 최 대변인은 “서울시와 현대중공업은 직접적인 이해관계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서울시장은 광역단체장 중 유일하게 국무회의에 배석할 수 있어 기업의 이해와 관련된 수많은 국가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현대중공업은 자회사를 통해 서울시 노른자위 개발지구인 문정지구에 700억의 투자를 하고 있다. 현재중공업 재무제표에 따르면 자회사인 <문정2구역제사차(주)>는 문정동 오피스 상가 신축사업에 200억, <대원도시개발산업(주)>는 문정동 오피스텔 신축사업에 500억의 기초자산매입확약, 미담보대출확약등의 약정을 체결하고 있다.

최 대변인은 “문정지구 개발과 현대중공업은 역시 직접적 이해관계를 갖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지난 2006년 4월 당시 이명박 서울시장은 자신이 갖고 있던 현대중공업 주식이 786주밖에 되지 않았는데도 직무 연관성이 있다는 백지신탁위원회의 판정에 따라 전량 매각해야 했다. 그런데 정몽준 후보가 가진 현대중공업 주식은 무려 770만주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최 대변인은 "현대중공업의 주식을 보유했던 이명박 전 대통령이 서울시장 시절인 2006년 4월 행안부 백지신탁심사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직무 관련성이 인정되어 그 주식을 전량 매각한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다"며 "(정 의원이)'팔았다면 판 것이지 무슨 문제냐'고 했지만 대주주도 아니고 고작 700여주를 가진 이 전 시장도 직무관련성 판정에 따라 그 주식을 매각해야 했다. 위원회는 당시 '시도지사가 기업 및 경제 관련 정보에 사전 접근할 수 있는지 여부와 영향력 행사 가능성 기준을 적용하여 포괄적 직무연관성이 있다' 고 결정했다. 700여주가 문제된다면 당연히 대주주인 정 후보의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정 의원이 토론회에서 ‘마이클 블룸버그 전 뉴욕시장의 경우도 주식신탁평가를 받았지만 문제가 없었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 최 대변인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그는 "뉴욕시 이해상충 위원회(Board of Conflicts of Interests)는 2007년 블룸버그 시장에 대해 뉴욕시와 거래관계가 있는 기업의 소유권을 금지하고, 소유하고 있는 기업 단체와 뉴욕시 사이에 직무 연관성이 있어 이해상충이 발생할 경우에는 백지신탁 할 것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제 정 후보는 신탁심사를 받더라도 주식을 계속 보유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인지, 팔아야 한다면 충분한 사전준비가 있는지 밝혀야 한다"고 거듭 압박했다.

특히 그는 “백지신탁이 결정되어 막대한 대주주 지분을 매각할 경우 조선기술 세계1위이자 방위산업체인 현대중공업이 외국에 매각될 수 있다" 며 "대비책을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 정 의원의 현대중공업 지분은 10.15%, 주식 가치로는 1조 9000억 원대로 회사의 경영권이 걸려있다. 주식백지신탁심사위원회가 정의원의 주식을 매각할 경우 현대중공업이 세계적인 조선 플랜트 기업이자 잠수함 등을 만드는 방산업체라는 점에서 국내첨단 기술의 해외유출, 안보문제도 우려되는 상황이다.막대한 지분 처리가 쉽지 않아 현대중공업의 앞선 기술을 노린 외국기업의 매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정 의원은 “나는 여러 번 얘기했다”면서 "법에 정해진 원칙과 절차에 따라 하겠다"고 기존의 입장을 되풀이 했다.

한편 지난해 황철주 중소기업청장 내정자의 경우, 자신의 보유주식이 백지신탁으로 매각되면 그의 소유 회사가 적대적 인수합병(M&A)에 노출될 것을 우려, 돌연 사의를 표명한 바 있다.

당시 그는 한 언론사의 통화에서 "회사 주식을 백지신탁 해야 하는 점이 부담스러웠다“고 밝혔다. 백지신탁은 단지 공직자가 재직기간중 주식을 백지신탁위원회에 맡겨두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주식을 강제적으로 팔아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