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황식-정몽준 불꽃 대격돌
鄭, "金 의도적 병역기피 의혹 金이 진실 밝혀라"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4-04-14 17:49:25
金, "백지신탁 명확한 의견 제시 鄭 위해 바람직"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새누리당 서울시장 경선경쟁자인 정몽준 의원과 김황식 전 국무총리 측이 14일 날선 신경전 양상을 보였다.
정 의원 측은 김 전 총리의 ‘병역기피’ 의혹을 제기하고 나선 반면, 김 전 총리 측은 정 의원에게 “대기업 대주주와 서울시장을 겸직할 수 있다고 믿느냐”며 거듭 ‘백지신탁’ 문제를 들고 나왔다.
이날 정몽준 후보 경선준비위원회 박호진 대변인은 “서울시장 후보에 대한 진정한 검증을 제안한다”면서 “서울시장은 서울시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는 중요한 책임을 지고 있고, 따라서 투철한 안보관과 국가관이 필요하다. 이에 우리는 김황식 후보의 병역 기피 의혹에 대해 김 후보가 진실을 밝힐 것을 요구한다”고 ‘병역기피’ 의혹을 제기했다.
정 의원 측은 “김 후보는 1968년과 1969년에 2회에 걸쳐 병역연기를 하였고 1970년과 1971년에는 ‘갑상선기능항진증’을 이유로 징병연기처분을 받았다.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는 김 후보의 형님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고 주장하고 있고 진단서는 전남대병원에서 발급받았다고 하는데 아무런 기록도 남아있지 않다”면서 “2010년 총리 청문회 당시 전남대 병원에 기록이 없다는 것을 확인한 뒤 전남대 병원에서 진단서를 발급받았다고 주장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고 의구심을 보였다.
이어 “김 후보는 1972년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아닌 ‘부동시’로 병역면제를 받았다. 우연의 일치라고 하기에는 기막힌 타이밍으로 ‘부동시’가 1971년 병역법 개정으로 병역면제 사유가 되었던 것”이라며 “김 후보는 고등학교 시절 배드민턴 선수를 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구나 김 후보가 1974년 판사 채용 신체검사에서 받은 검사결과는 좌우 시력이 0.2/0.1로 1디옵터 차이로 정상 시력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 의원 측은 “이런 여러 가지 정황과 총리 청문회 때 한 야당 의원이 “의학적 연구 대상‘이라고 평할 만큼 의학적으로 설명이 어려운 시력 회복 등의 이유로 의도적으로 병역을 기피하려고 했던 게 아닌지 많은 의혹을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김 전 총리 측은 김황식 후보가 ‘백지신탁에 대한 명확한 의견이나 대응책을 내놓는 것이 정 후보를 위해서도 바람직하다’고 밝히자 정 의원이 ‘지방에 있는 조선소 얘기’라며 서울시장 선거와 무슨 관련이 있느냐는 식으로 발언한 것을 문제 삼았다.
김 전 총리 측은 “정 후보의 말은 현대중공업 지분에 대해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다른 결정이 내려질 것이라는 기대를 보여주는 것이냐. 이 전시장은 2006년 당시 현대중공업 주식이 786주밖에 없었는데 백지신탁위의 직무연관성 판정에 따라 매각해야 했다. 정몽준 후보가 가진 현대중공업 주식은 770만주인데 직무연관성이 1만배 더 높아진다고 보는 것이 상식 아니냐”고 지적했다.
또 정 후보가 ‘김 후보는 법관출신이지 신탁위원이 아니지 않느냐’고 언급한 것에 대해 “김 후보가 ‘백지신탁이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고 말한 것은 기존 판정례와 서울시민의 상식기준에 따른 것”이라며 “이는 백지신탁위원회가 이명박 전 시장때와 다른 판정을 내려줄 것이라는 정 후보의 기대감을 드러낸 것이냐”고 반문했다.
특히 김 전 총리 측은 “그동안 서울시민이나 당원들은 ‘설마 정 후보가 현대중공업 대주주와 서울시장을 겸직하려고 하겠느냐’고 믿어왔지만 지난 9일 후보토론회 이후 그 같은 생각은 의심과 우려로 바뀌고 있다”며 “특히 정 후보는 (블룸버그 통신 창업주인) 블룸버그 전 뉴욕시장도 ‘심사에서 문제가 없었다’고 주장했지만 뉴욕시 이해상충위원회는 직무관련성을 명백히 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대중공업 대주주와 서울시장 자리가 이해관계로 얽힐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 뒷받침한다”면서 “상장사 3개, 비상장사 23개 등 26개의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는 현대중공업은 ‘지방의 조선소’가 아니라 서울시와도 복잡한 업무관계를 맺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전 총리 측은 ▲서울시와 현대중공업, 현대오일뱅크는 최근 5년간 53건 152억원의 물품구매계약을 서울시와 체결했으며 이중 40건은 나라장터를 이용해 수의계약으로 이뤄졌다. ▲현대중공업은 서울시 노른자위 개발지구인 문정지구에 700억원을 투자하고 있는 것이 재무제표에 나타났다. ▲계열사인 현대기업금융대부는 서울 중구 무교동에 본사를 둔 금융대부회사로서 서울시장에게 등록하고 영업을 하는 업체이다. ▲서울시내 현대오일뱅크(주)의 주유소 및 충전소는 설치와 영업이 해당 지자체의 허가사항이라는 점 등을 나열했다.
또 정 의원이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어 있다’며 현대중공업 대주주 지분이 서울시장 후보로서 큰 문제가 없다는 듯이 얘기하고 있는 것에 대해 김 전 총리 측은 “정 후보가 대주주 지분을 갖고 있는 한 현대중공업의 배당과 주가차익을 얼마든지 누릴 수 있다. 정 의원은 올해와 지난해 배당금만 346억원을 받았고 보유주식 가치는 679억원이 증가해 현대중공업 주식보유로 무려 1000억원 가까운 재산이 증가했다”며 “사실이 이런데도 정몽준 후보는 국어실력 운운하며 본질을 에둘러가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금은 당내 경선이어서 점잖게 제기하지만 본선에서는 야당의 쓰나미 공격이 예상된다. 대주주의 정치행보 때문에 현대중공업까지 과거의 각종사건이 들춰져 야당의 파상공세 도마에 오를 것”이라며 “세계적 기업가였던 선대의 창업이후 현대중공업 전문경영인과 근로자, 국민들이 함께 키운 현대중공업에 이런 피해를 줘서도 안될 일”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 후보는 경선에서 현대중공업 지분이 서울시장과 직무관련성이 없는 듯이 암시하며 ‘법과 절차에 따르겠다’는 모호한 화법으로 얼버무려서는 안 된다”며 “서울시장 필승과 박근혜정부의 성공을 염원하는 새누리당 전체 당원과 서울 시민들에게 정 후보는 정확한 입장과 해법을 경선 단계에서 밝혀야 한다”고 거듭 압박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