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기 괴담, 초기대응 방향 중요 천안함 때 잘못 되풀이해선 안 돼"

정몽준, "北 공동조사 요구 현명하게 대처해야"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4-04-16 17:46:22

[시민일보=이영란 기자]과거 천안함 폭침 당시 “덮고 가자”는 발언과 이석기 의원 제명안 반대 등으로 인해 곤혹을 치르고 있는 정몽준 의원이 16일 북한의 무인기 공동조사 요구에 현명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새누리당 서울시장 예비후보인 정 의원은 이날 정부가 '피의자에게 범죄 증거를 조사시키는 일은 없다’며 북한의 공동조사 제의를 일축한 것에 대해 “단순히 북한 요구를 거부하는 것에 그쳐서는 안 된다”며 “북한의 공동조사 제의는 고도의 심리전이기 때문에 국방부 차원에서 처리할 일이 아니라 외교안보와 국민 신뢰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해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북한의 무인기 사건에 대해 우리 쪽의 친북 인사들이 북한 소행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북한이 이를 받아서 우리 정부를 비난하다가 공동조사까지 제의하고 있다”며 “친북인사들이 무인기에 대한 괴담을 퍼뜨리고 있는 상황에서 초기대응의 방향이 중요한 만큼 보다 적극적으로 당당하게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2010년 천안함 피격 사건과 그 이후 우리의 대응을 돌이켜보면 이번 무인기 사건도 초기 대응을 잘못하면 천안함 때 친북세력의 주장이 선량한 국민들에게 파고들었던 것처럼 국론이 분열될 가능성이 있다”며 “2010년 천안함 사건 직후 국제조사단을 구성할 당시 한나라당 대표로서 저는 이명박 대통령과 유명환 외교장관에게 중국을 국제조사단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각각 제안했으나 정부는 결국 중국을 배제한 채 조사단을 구성함으로써 외교적으로 적극 대응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같은 잘못을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서 무인기 사건도 국제조사단을 구성하되 이번에는 중국을 포함시키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미국전문가 8~9명이 이미 입국해 있는 만큼 미국 외에 영국, 독일 등 과학 선진국의 전문가들도 조사단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우리가 피해 당사자이지만 객관적 조사를 위해 조사의 주도권을 국제조사단에 넘기겠다고 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어 “천안함 사건의 경우에서 보듯이 진실이 밝혀진다고 해도 그 과정에서 국민의 신뢰를 잃으면 소용이 없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