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해운비리 정조준

'비리 의혹' 해운 업계들 전방위 압수수색 돌입

이대우,박기성,고수현

nice@siminilbo.co.kr | 2014-05-01 18:17:33

세월호 비판 일자 해운업계수장 도미노 사퇴

[시민일보=이대우,박기성,고수현 기자]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검찰이 해운업계가 가진 구조적 비리를 정조준한 가운데 연이어 해운업계 수장들이 사퇴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 해운업계 수장 줄사퇴=지난 달 25, 26일 전영기 한국선급(KR) 회장과 주성호 한국해운조합 이사장이 연이어 사퇴한데 이어 선박안전기술공단의 부원찬 이사장이 지난 달 30일 전격 사의를 표명했다.

선박안전기술공단은 대형 선박을 맡고 있는 한국선급과 함께 중ㆍ소형 선박에 대한 선박안전 검사대행기관이다.

부 이사장은 사의를 표명하면서 "이번 세월호 사고와 관련해 해양수산부 소속 안전관리 기관의 일원으로서 송구스러움과 함께 침통한 심정"이라며 "이번의 큰 슬픔을 계기로 앞으로 사고 없는 안전한 사회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부 이사장은 여수지방해양항만청장을 지낸 관료 출신으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해피아'의 중심에 섰던 인물이다.

따라서 이같은 사의 표명은 선박안전기술공단이 한국선급, 해운조합 등과 함께 관료들의 대표적인 재취업 자리였다는 논란과 함께 검찰의 수사까지 받게 되면서 더 이상 정상적으로 조직을 이끌기 어렵다는 부 이사장의 판단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전영기 회장과 주성호 이사장도 세월호 침몰 사고를 계기로 부실 안전점검과 유착의혹 제기에 따른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한국선급은 허술한 점검에 대한 비판과 함께 역대 회장(이사장 포함) 11명 가운데 해수부 출신이 8명인 것이 알려지면서 구조적 폐해로 지적됐다.

전 회장은 지난 달 25일 "희생자와 유가족, 국민에게 크나큰 상실감과 슬픔을 준 데 대해 도의적 책임을 지고 사임한다"고 밝혔다.

전 회장은 1960년 한국선급 설립 이후 내부 출신으로는 최초로 조직 수장에 올랐으며 지난해 3월 신임회장 선거에서 주성호 전 국토해양부 2차관을 누르고 당선된 인물이다.

지난해부터 해운조합 이사장을 맡아 온 주성호 이사장도 지난 달 26일 사퇴했다. 해운조합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비판이 커지자 도의적 책임을 지고 물러난 것으로 알려졌다.


해운조합 역시 주 이사장을 포함해 역대 이사장 12명 가운데 10명이 해수부 전직 관료출신으로 한국선급 등과 함께 해피아로 지적된 곳이다.

해운조합은 2100여개 선사를 대표하는 해운단체로 해수부로부터 위탁받아 ▲화물적재 상태 점검 ▲구명장비·소화설비 점검 ▲여객선 운항관리규정 확인 등 선박 안전운항 관리·감독을 해왔다.

검찰 해운비리 정조준= 해운비리를 수사 중인 검찰이 한국선급을 비롯해 해운조합 등 해운업계 전방위로 압수수색하며 수사 강도를 높이고 있다.

인천지검 해운비리 전담팀(팀장 송인택 1차장검사)는 지난 30일 체포한 한국해운조합 사업본부장 A씨에 대해 배임수재 혐의로 구속영장 청구를 검토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전담팀은 A씨가 해운사들에 보험금을 과다하게 지급한 뒤 추가 지급한 일부를 리베이트 명목으로 되돌려받는 수법으로 로비 자금을 마련한 것으로 보고 수사하고 있다.

특히 해운조합이 해양수산부와 해양경찰서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에게 로비를 벌인 정황을 잡고 수사를 벌이고 있다.

또한 한국해운조합 인천지부에서 파기한 문서 일부를 돌려받고 압수물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A씨의 배임수재 혐의를 발견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전담팀은 전날 선박안전기술공단과 기술공단 인천지부 등 선박안전 업체 7곳에 대해서도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선박에 대한 안전점검을 제대로 시행했는지 여부를 포괄적으로 들여다보기 위해서다.

검찰은 이날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각종 서류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해 안전점검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여부를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