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 직선제 폐지 주장은 '국민 무시' 발상"

새정치 "체육관 선거 했던 민정당 프레임" 與 맹비난

이대우 기자

nice@siminilbo.co.kr | 2014-06-10 14:49:46

[시민일보=이대우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은 10일 새누리당의 교육감 직선제 폐지 주장과 관련해 민정당의 체육관 선거와 같은 오만한 발상이라고 맹비난했다.

장병완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선거를 폐지하겠다는 주장은 국민을 무시해도 좋다는 오만"이라며 "이러한 행태는 직선제 대신 체육관 선거를 했던 민정당 프레임"이라고 비판했다.
장 의장은 "민심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정치인의 기본 자세"라며 "권력을 유지하다 보면 망하는 길에 접어드는 것이란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유은혜 원내대변인도 "지방자치 선거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면 지방자치제도도 폐지하자고 할 것인가"라며 "민심에 불복하는 오만한 발상"이라고 비난했다.

유 원내대변인은 "정치적 중립 운운하면서 직선제 폐지를 주장하는 것이 교육감 선거의 중립성을 훼손하는 것"이라며 "교육자치 입장을 바꾸는 것은 권력으로 교육을 통제하겠다는 것과 다름없다. 선거 결과에 따라 존폐를 거론하는 것이야말로 교육자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헌법정신을 부정하는 것"이라며 "교육자치제도를 만든 것은 주민의 통제에 의한 지방자치 교육의 자주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임명제는 군사 독재시절 있었던 것"이라며 "임명제를 선출제로 바꾼 후에 교육 자치제도는 발전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교육감 직선제는) 특정 정치세력에 따라 좌지우지할 수 있는 게 아니다"라며 "네거티브에도 불구하고 진보 성향 교육감이 왜 국민의 선택을 받았는지 살펴보라. 교육자치 발전을 위해 지혜를 모으는 것이 집권 여당이 행할 일"이라고 꼬집었다.

윤후덕 의원도 "다음 선거는 4년 남아서 3년 6개월 후에 할 개선 논의를 지금 말하고 있다."며 "세월호 국면을 희석시키고 모면하려는 정치적 술책"이라고 비난했다.

윤 의원은 임명제에 대해 "자기 선거 도와준 인물을 교육감으로 하겠다는 것"이라며 "정치인이거나 정치권에 기웃거리는 사람을 교육감으로 선택하겠다는 것이다. 교육 현장에서 아이들과 함께 동고동락하고 교육철학을 가진 분들이, 교육 당사자들이 뽑아야 교육자치가 된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