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호, “文 후보자, 청문회 통해 본인 소명 기회 줘야”
“역사인식 문제 주도권 싸움의 일환으로 활용됐다면 용납 못할 것”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4-06-19 11:29:35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새누리당 김태호 의원이 최근 문창극 총리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청문회를 통해 본인에게 소명의 기회를 줘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19일 오전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번 국정교과서 채택 문제와 관련해서 좌우파가 대립했던 갈등도 있었는데 만약 지금 역사인식 문제를 헤게모니 즉, 주도권 싸움의 일환으로 활용된 수단이 있다면 용납할 수 없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보고서 자체의 채택도 아직 불투명하지만 그게 또 본회의 표결로 전체 인준절차가 있다. 거기에 다시 국민의 어떤 민심들이 국회를 통해 다 반영이 될텐데 그 결과에 따라 수용여부를 판단하면 되는 건데 왜 이렇게 더 논란을 가중시키는지 잘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그는 당내 지도부에서도 문 후보자의 자진사퇴 요구가 나오고 있는 부분에 대해 “대통령도 외형상으로는 임명동의안 제출을 보류했는데, 이걸 두고 민심의 향배도 보고 또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라, 셀프사퇴 메시지가 있지 않냐고 파악하고 있는데 새누리당 지도부에도 여론의 뜻을 반영해서 그런 말씀을 하는 건 맞지만 책임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로서 옳은 일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그는 “스스로 소명의 기회를 주기를 바라고 있듯이 인준 절차대로 가는 게 오히려 맞다. 만약 문창극 후보가 사퇴했을 때 또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 그 문제에 대해서는 겉잡을 수 없을 것이고 오히려 이런 민주적 절차를 밟는 게 옳다고 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서 인사청문시스템에 대해 “지금처럼 신상 털기 중심으로 인사청문회가 여론재판 식으로 공개적으로 된다면 그 후보자가 통과되더라도 이미 누더기가 되고 바보총리가 돼 있을 것”이라며 “신뢰와 믿음을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는데 그 상태로 되면 일하기 힘든 것”이라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