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청문회' 9명 중 6명만 청문절차 관문 통과
朴정부 2기내각 인사청문회 마무리, 김명수ㆍ정성근ㆍ정종섭 거취 촉각
이대우 기자
nice@siminilbo.co.kr | 2014-07-13 14:41:36
[시민일보=이대우 기자] 여야가 박근혜정부 2기 내각 인사 내정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 시리즈'를 마무리한 결과 모두 9명 중 6명만이 관문을 통과했다.
이에 따라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한 김명수 교육부 장관 내정자,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내정자, 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 내정자 등 나머지 3명의 거취에 정치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9명 가운데 가장 먼저 인사청문회를 통과했다. 지난달 5일 인사청문요청안 제출 후 한 장관은 같은달 29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청문회를 치렀고 그날 인사청문경과보고서가 채택됐다.
같은달 24일에는 나머지 8명의 인사청문요청안이 무더기로 국회에 제출됐다.
이에 따라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내정자,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 내정자,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 내정자, 이병기 국가정보원장 내정자는 지난 7~9일 잇따라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검증을 받았고 그 결과 국회의 소관 상임위원회들로부터 인사청문절차 통과 통보를 받았다.
김명수 내정자는 논문표절 의혹, 정성근 내정자는 음주운전·아파트 전매제한 위반 위증·청문회 중 폭탄주 회식, 정종섭 내정자는 부동산 투기, 논문 자기표절, 탈세, 군 복무 특혜 등 의혹을 받고 있다.
물론 박 대통령은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라 국회의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 절차 없이도 장관 등 국무위원을 임명할 수 있지만 임명 강행 시 정치적 부담이 크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이미 국무총리 후보자 2인 낙마 등 인사참사로 곤욕을 치른데다가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부적격 의견이 나오는 상황이라 박 대통령이 이들 3명의 임명을 강행하기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특히 지난 10일 새정치민주연합 원내지도부와 청와대 회담 과정에서 김명수·정성근 내정자 지명철회를 공식적으로 요구받은 점도 박 대통령의 고민거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