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국민외면 장외투쟁 그만" vs. 野 "與 '甲 횡포' 부리지말라"
與 국회 정상화 요구 압박에 野 거센 반발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4-09-01 15:41:29
이완구 "투쟁 접고 정기국회서 경제살리기 나서야"
조정식 "세월호법 피한다고 참사 덮여지지는 않아"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새누리당이 1일 새정치민주연합을 향해 9월 정기국회에 정상적으로 임하라고 압박했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새누리당을 겨냥, 유가족과 국민을 상대로 갑(甲)의 횡포를 부리지 말라고 반박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국회에는 국가대혁신 법안과 국민 안전 법안을 비롯해 처리해야 할 경제활성화와 민생법안이 산적해 있다”며 “민생 문제는 여야의 최우선 순위이고, 핵심가치이자 정치의 존재 이유임을 야당도 아마 잘 알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이완구 원내대표가 세월호 유가족들과 3차 대화를 하는 등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만큼 야당도 세월호법 제정에 힘을 쏟아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그는 "정기국회는 국민을 대변하는 국회와 정부가 제대로 일을 하고 있는지 견제하고, 내년 예산안을 심의하고, 각종 민생법안을 확정하는 중요한 국회"라며 "밤잠을 자지 않는 국회가 되서 국민들로부터 진정으로 국가와 국민을 위해 일한다는 이야기를 듣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완구 원내대표도 "오전에 원내수석대표 간 의사일정 조율이 있을 것"이라며 "야당도 정기국회만큼은 정상적으로 임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이 원내대표는 "그동안 세월호 특별법에 대한 입장도 4개월 넘게 충분히 전달했으니 정기국회에서 국민이 부여한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며 "국민이 외면하는 장외투쟁을 접고 경제살리기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회가 국민에게 불신과 실망을 줘서는 안 된다. 새누리당은 새정치연합과 함께 세월호 교훈을 담아낸 특별법을 만들겠다. 이를 믿고 정기국회를 반드시 정상화시켜야 한다"고 거듭 국회정상화를 촉구했다.
이정현 최고위원은 국회가 민생 법안과 예산 심의는 물론 의사일정도 확정하지 못한 데 대해 "옛날에 '놀고먹는 대학생'이란 말이 있었다. 요즘에 놀고먹는 국회의원이라는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한 마디의 반박도 변명도 할 수 없는 형편"이라며 "국민들 앞에서 국회의원으로서 반성문을 쓰고 싶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국회의원만이 할 수 있는 일이 두 가지 있다. 하나는 법안을 심의해 의결하는 것이고 하나는 예산을 심의해 의결하는 것"이라며 "어떤 다른 처신을 하더라도 두 가지는 국회가 충실해야 하지만 국회가 지금 법안과 예산 심의에서 많은 시간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들로부터 청문회 요청을 받지 않으려면 국회가 적어도 정기국회, 법안 심의, 예산 심의에 충실히 할 수 있도록 오늘부터라도 새로운 국회 운영 전략과 운영이 뒤따라야 한다"며 "국회가 대개조 되지 않는 한 어떤 분야에서도 발전은 더딜 수밖에 없다. 변하지 않으면 국회가 청문회를 받는 시점이 오리라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새정치연합 조정식 사무총장은 1일 세월호 특별법 처리와 관련해 "새누리당이 일말의 책임감이 있다면 유가족과 국민을 상대로 갑(甲)의 횡포를 부리지 말라"고 역공을 취했다.
조 사무총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새누리당은 오늘 세월호유가족과 3차면담이 예정돼 있다. 새누리당은 오늘 성과를 못내면 4차, 5차 협의하겠다면서 김빼기를 하고 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조 사무총장은 "유가족과 새누리당의 의견이 일치하면 야당은 표결하면 된다는 막말을 하고 있다. 오만불손, 몰염치"라며 "새누리당은 면담만 하다가 끝내겠다는 것이냐. 세월호 특별법을 피한다고 참사가 덮여지지는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어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 국민의 염원은 어떻게 잘못돼 아이들이 희생됐는지 진실을 알려달라는 것"이라며 "국민 안전과 생명을 책임지는게 나라의 기본이고 대통령이 가져야 할 덕목이다. 대통령과 여당은 이에 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9월 정기국회와 관련해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그 첫단추가 세월호 특별법 제정이다. 정기국회 정상화될지는 새누리당에 달려있다"며 "새누리당은 오늘 3차면담에서 유가족이 공감하는 해법 마련에 나서서 추석 전에 특별법을 제정되게 해야 한다. 그게 정기국회와 국정 정상화의 길"이리고 압박했다.
조정식 "세월호법 피한다고 참사 덮여지지는 않아"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새누리당이 1일 새정치민주연합을 향해 9월 정기국회에 정상적으로 임하라고 압박했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새누리당을 겨냥, 유가족과 국민을 상대로 갑(甲)의 횡포를 부리지 말라고 반박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국회에는 국가대혁신 법안과 국민 안전 법안을 비롯해 처리해야 할 경제활성화와 민생법안이 산적해 있다”며 “민생 문제는 여야의 최우선 순위이고, 핵심가치이자 정치의 존재 이유임을 야당도 아마 잘 알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이완구 원내대표가 세월호 유가족들과 3차 대화를 하는 등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만큼 야당도 세월호법 제정에 힘을 쏟아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그는 "정기국회는 국민을 대변하는 국회와 정부가 제대로 일을 하고 있는지 견제하고, 내년 예산안을 심의하고, 각종 민생법안을 확정하는 중요한 국회"라며 "밤잠을 자지 않는 국회가 되서 국민들로부터 진정으로 국가와 국민을 위해 일한다는 이야기를 듣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완구 원내대표도 "오전에 원내수석대표 간 의사일정 조율이 있을 것"이라며 "야당도 정기국회만큼은 정상적으로 임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이 원내대표는 "그동안 세월호 특별법에 대한 입장도 4개월 넘게 충분히 전달했으니 정기국회에서 국민이 부여한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며 "국민이 외면하는 장외투쟁을 접고 경제살리기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회가 국민에게 불신과 실망을 줘서는 안 된다. 새누리당은 새정치연합과 함께 세월호 교훈을 담아낸 특별법을 만들겠다. 이를 믿고 정기국회를 반드시 정상화시켜야 한다"고 거듭 국회정상화를 촉구했다.
이정현 최고위원은 국회가 민생 법안과 예산 심의는 물론 의사일정도 확정하지 못한 데 대해 "옛날에 '놀고먹는 대학생'이란 말이 있었다. 요즘에 놀고먹는 국회의원이라는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한 마디의 반박도 변명도 할 수 없는 형편"이라며 "국민들 앞에서 국회의원으로서 반성문을 쓰고 싶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국회의원만이 할 수 있는 일이 두 가지 있다. 하나는 법안을 심의해 의결하는 것이고 하나는 예산을 심의해 의결하는 것"이라며 "어떤 다른 처신을 하더라도 두 가지는 국회가 충실해야 하지만 국회가 지금 법안과 예산 심의에서 많은 시간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들로부터 청문회 요청을 받지 않으려면 국회가 적어도 정기국회, 법안 심의, 예산 심의에 충실히 할 수 있도록 오늘부터라도 새로운 국회 운영 전략과 운영이 뒤따라야 한다"며 "국회가 대개조 되지 않는 한 어떤 분야에서도 발전은 더딜 수밖에 없다. 변하지 않으면 국회가 청문회를 받는 시점이 오리라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새정치연합 조정식 사무총장은 1일 세월호 특별법 처리와 관련해 "새누리당이 일말의 책임감이 있다면 유가족과 국민을 상대로 갑(甲)의 횡포를 부리지 말라"고 역공을 취했다.
조 사무총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새누리당은 오늘 세월호유가족과 3차면담이 예정돼 있다. 새누리당은 오늘 성과를 못내면 4차, 5차 협의하겠다면서 김빼기를 하고 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조 사무총장은 "유가족과 새누리당의 의견이 일치하면 야당은 표결하면 된다는 막말을 하고 있다. 오만불손, 몰염치"라며 "새누리당은 면담만 하다가 끝내겠다는 것이냐. 세월호 특별법을 피한다고 참사가 덮여지지는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어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 국민의 염원은 어떻게 잘못돼 아이들이 희생됐는지 진실을 알려달라는 것"이라며 "국민 안전과 생명을 책임지는게 나라의 기본이고 대통령이 가져야 할 덕목이다. 대통령과 여당은 이에 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9월 정기국회와 관련해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그 첫단추가 세월호 특별법 제정이다. 정기국회 정상화될지는 새누리당에 달려있다"며 "새누리당은 오늘 3차면담에서 유가족이 공감하는 해법 마련에 나서서 추석 전에 특별법을 제정되게 해야 한다. 그게 정기국회와 국정 정상화의 길"이리고 압박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