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구 없는 세월호法·당내 갈등 '당무복귀' 박영선, 가시밭길 예고

강경파, 원내대표직 사퇴 압박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4-09-18 17:00:35

여당과 협상 영향력 거의 상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나흘간의 칩거를 끝내고 당무에 복귀했지만 새로운 '묘수'가 나올지 의문이라는 관측이다.

우선 당내 상황이 녹록치 않다.

박 원내대표는 지난 17일 회견에서 탈당 의사를 공식 철회하면서 "자신을 죽이고 당을 살리라는 우리 당 원로 고문님들의 간절한 요청에 의해 이 자리에 섰다"며 "지금부터는 저에게 추어진 책임감만을 짊어지고 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민공감혁신위원장(비대위원장)직 사퇴 의사를 밝혔으나 야당 내 다수 의원의 요구 사항이었던 원내대표직 사퇴나 후임 원내대표 문제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대신 박 원내대표는 "세월호 특별법 문제는 상황이 더 심각해졌다. 당 소속 의원들과 함께 총의를 모아 마지막 혼신의 힘을 쏟겠다"는 말로 사실상 원내대표직 유지의사를 표명했다.

하지만 당내 친노그룹·정세균계·혁신모임·486그룹·민주평화국민연대·민주당집권을위한모임·더좋은미래 등 각 계파 내 강경파 의원들은 18일 오전부터 비상대책회의를 통해 박 원내대표의 원내대표직 사퇴를 거듭 압박한다는 계획이다.

전날에도 새정치연합 최민희·은수미·강기정·배재정·이종걸·인재근·홍익표·진성준·우원식·홍익표·이인영·이목희·최규성·노영민·유승희 의원 등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긴급 회동을 열고 박 원내대표의 원내대표직 사퇴 당위성을 재확인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박 원내대표의 원내대표직이 유지돼도 당내 영향력은 극히 미미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회동을 앞두고 있는 여야간 세월호 특별법 협상 전망도 그다지 밝지 않다는 분석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16일 여야 원내대표가 내놓은 2차 합의안을 '최종안'으로 해야 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고 이후 새누리당 지도부와의 회동에서도 이를 재확인 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에 여당이 주도적으로 민생 문제 해결에 앞장서야 한다고 요구, 사실상 '단독 국회' 강행에도 힘을 실어줬다.

그동안 새누리당 지도부가 2차 합의안 이상으로 '더 양보할 것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 온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협상의 마지노선을 분명히 하면서 사실상 유가족들과 야당이 요구하는 양보 가능성은 희박해졌다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박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이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며 협상에 다시 나서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하지만 박 원내대표는 현재 박 대통령을 겨냥, 비판하는 것 외에 별다른 대안이 없다는 현실적 한계에 직면해 있다.

새정치연합의 내부 혼란이 일단 수습 국면에 접어들더라도 세월호 특별법을 둘러싼 당내 이견이 정리되고, 그가 협상 전권을 가질 수 있을 지도 불투명하다. 사실상 당내 리더십을 상실한 박 원내대표가 협상에 나서더라도 영향력을 제대로 가질 수 없을 것이란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이유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