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개헌논의··· 경제블랙홀 우려"
朴대통령 "경제살리기·국민어려움 해결 최우선"··· 국민 38.4% "개헌 미뤄야"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4-10-06 11:40:19
與, 개헌 목소리 작아질 듯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6일 정치권의 개헌 논의에 대해 ‘경제 블랙홀’을 우려하며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이날 현역 국회의원들을 대상으로 한 개헌찬반 여론조사에서 의결정족수 200명을 훌쩍 뛰어넘는 231명이 헌법 개정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 정치권에서 개헌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지금 우리에게는 그 어떤 것도 경제살리기에 우선할 수가 없다. 경제회생의 골든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고 국민안전과 공직사회 혁신 등 국가대혁신 과제도 한시가 급한 상황"이라며 "장기간 표류하던 국회가 정상화돼서 이제 민생법안과 경제살리기에 주력해야 하는데 개헌논의 등 다른 곳으로 국가 역량을 분산시킬 경우 또 다른 경제의 블랙홀을 유발시킬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올해도 얼마 남지 않았는데 국회도 경제살리기와 국민들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것을 국정의 최우선 순위로 삼아서 함께 힘을 모아주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최근 정치권 일각에서 다시 불붙은 개헌 논의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박 대통령은 지난 1월 신년기자회견에서도 "개헌이라는 것은 워낙 큰 이슈이기 때문에 한번 시작되면 블랙홀 같이 모두 거기에 빠져들어서 이것저것 할 그것(여유)을 못낸다"고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여권 내 개헌 목소리는 당분간 수면 아래에 가라앉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민들도 개헌을 내년 이후로 미뤄야 한다는 의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는 6일 개헌논의 필요성에 대해 긴급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38.4%가 ‘내년 이후로 미뤄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올해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는 응답은 31.9%에 그쳤다.
특히 ‘논의할 필요 없다’는 의견도 11.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잘모름 응답은 18.0%다.
이번 조사는 지난 2일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5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와 유선전화 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조사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였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6일 정치권의 개헌 논의에 대해 ‘경제 블랙홀’을 우려하며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이날 현역 국회의원들을 대상으로 한 개헌찬반 여론조사에서 의결정족수 200명을 훌쩍 뛰어넘는 231명이 헌법 개정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 정치권에서 개헌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지금 우리에게는 그 어떤 것도 경제살리기에 우선할 수가 없다. 경제회생의 골든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고 국민안전과 공직사회 혁신 등 국가대혁신 과제도 한시가 급한 상황"이라며 "장기간 표류하던 국회가 정상화돼서 이제 민생법안과 경제살리기에 주력해야 하는데 개헌논의 등 다른 곳으로 국가 역량을 분산시킬 경우 또 다른 경제의 블랙홀을 유발시킬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올해도 얼마 남지 않았는데 국회도 경제살리기와 국민들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것을 국정의 최우선 순위로 삼아서 함께 힘을 모아주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최근 정치권 일각에서 다시 불붙은 개헌 논의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박 대통령은 지난 1월 신년기자회견에서도 "개헌이라는 것은 워낙 큰 이슈이기 때문에 한번 시작되면 블랙홀 같이 모두 거기에 빠져들어서 이것저것 할 그것(여유)을 못낸다"고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특히 국민들도 개헌을 내년 이후로 미뤄야 한다는 의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는 6일 개헌논의 필요성에 대해 긴급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38.4%가 ‘내년 이후로 미뤄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올해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는 응답은 31.9%에 그쳤다.
특히 ‘논의할 필요 없다’는 의견도 11.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잘모름 응답은 18.0%다.
이번 조사는 지난 2일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5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와 유선전화 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조사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