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선실세’ 의혹 파문 일파만파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4-12-03 16:00:52
檢, 조응천 출국금지...박관천 소환통보-자택 등 압수수색
野, '정윤회 게이트'규정...朴대통령 사과·김기춘 사퇴 촉구
홍문종 "사실상 찌라시 문건” 일축
[시민일보=이영란 기자]검찰이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 실세 국정개입 의혹을 담은 청와대 문건유출 사건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으나 파문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을 기세다. 야당의 집중공세도 이어졌다.
3일 검찰에 따르면, 검찰은 전날 홍경식 전 청와대 민정수석과 조응천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을 출국금지 시켰다. 이는 지난달 30일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 파견 근무 당시 문건을 작성한 박관천 경정을 출국금지한 데 이은 조치다.
특히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임관혁)는 이날 오전 9시쯤부터 박 경정의 근무지인 서울 도봉경찰서 3층 정보과와 박 경정이 자료를 보관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서울경찰청 정보분실에 대한 압수수색에 착수했다.
오전 9시 50분 경부터는 서울시 도봉구 하계동에 있는 박 경정의 자택에서도 압수수색이 진행됐다. 검찰은 이날 박 경정이 사용중인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에서 작성했던 각종 문건 등을 다량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날 국회 비상대책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사과와 김기춘 비서실장의 사퇴를 촉구하는 등 총공세를 펼치고 있다.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비선실세 국정농단과 문건유출은 어느 것 하나 간과해선 안 되는 국기문란이자 중대한 범죄"라며 "(청와대) 스스로 작성한 문건을 루머라고 하고 언론보도를 문제라고 하는 것은 심각한 불통리더십을 증명한다"고 박근혜 대통령을 겨냥했다.
문 비대위원장은 "대통령은 바로 얼마 전까지만 해도 남북대화록 유출을 국민의 알 권리라고 하지 않았나. 청와대가 과거처럼 유야무야 넘기면 최대 위기에 봉착할 것"이라며 "결국 국회에서 사건을 다뤄야 한다. 상설특검 1호나 국정조사가 정답"이라고 주장했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대통령의 임기가 절반 넘게 남아 있는데 청와대 권력암투가 표면화되고 진실게임 양상으로 번지는 것은 불행"이라며 "정상적인 국정운영을 위해 의혹과 불신을 해소해야 한다. 김기춘 비서실장을 비롯한 관련자들의 국회 출석과 해명이 있어야 한다"고 국회 운영위 소집을 재차 촉구했다.
정세균 비대위원은 "정윤회 게이트의 실상이 뭔지 아직 예단하긴 이르다"면서도 "제왕적 인사, 무검증 인사가 내부 권력다툼의 부메랑으로 돌아온 게 정윤회 게이트다. 정부는 덮고 넘어갈 궁리 말고 (인사)시스템을 복원할 방법을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지원 비대위원도 "박스째 (청와대 문건이) 유출됐다는 건 안보문제"라며 "(기밀을 지켜야 할) 정상회담 대화록은 알 권리 차원에서 흘려내고 알아야 할 문건에 대해서는 숨기고 있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김기춘 비서실장은 문건이 유출된 것을 알았으면 그 때 해결했어야 한다. 그 때 해결하지 않고 이제 유출되니까 국기문란사건이라고 한다"며 "이들(김기춘 비서실장과 3인방)이 책임지고 물러나야 검찰이 제대로 수사할 수 있고 그 결과를 국민은 믿을 수 있다"고 '선 사퇴 후 조사'를 주장했다.
문재인 비대위원은 "문건의 내용은 루머고 유출은 국기문란이라는 것인데 그래도 국기문란은 남이 한 것이 아니라 청와대 비서실에서 한 것"이라며 "그 사실만으로도 대통령은 당당할 수 없다. 국민에게 죄송스러워 하고 사과해야 마땅하다"고 지적했다.
인재근 비대위원은 특별감찰관제가 발효된 지 6개월째가 되도록 특별감찰관이 임명되지 않고 있는 데 대해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무능 때문이다. 자신들이 추천한 인사가 후보직을 고사하자 새로운 인물을 추천하지 못하고 시간을 허비하고 있다"며 특별감찰관 확대를 주장했다.
문병호 의원은 "새누리당은 늦어도 다음주 초까지 국회 운영위를 소집해야 한다"며 "김기춘 비서실장이나 '문고리 3인방'(이재만, 정호성, 안봉근)과 정윤회씨, 조응천 전 비서관, 박관천 전 행정관 등이 모두 국회에 나와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민석 의원은 "지난 7월초에 김진선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의 갑작스런 사퇴가 있었다. 올림픽을 앞두고 사퇴한 것은 의구심을 자아냈다"며 "김 위원장의 사퇴가 김기춘 비서실장과 정윤회씨 사이의 암투와 무관치 않다는 정황과 근거를 갖고 있다"고 새로운 의혹을 제기했다.
박주선 의원은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진실규명만이 조기에 국정을 안정시킬 수 있고 자칫 잘못하면 대통령의 레임덕까지 갈 수 있는 상황을 조기에 매듭을 지을 수 있을 것"이라며 특검과 국정조사를 촉구했다.
박 의원은 "대통령과 관련된 대통령을 보좌하는 참모로서의 문건을 작성하고 보고한 것이기 때문에 개연성을 넘어서 확실성이 없으면 문건을 작성해서 보고할 수가 없다"며 "청와대 행정관의 직무수행의 범위, 한계, 도덕성, 책임성과 비춰볼 때 허위사실이기보다는 진실"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문건의 내용이 청와대가 설명하는 대로 이것이 찌라시에 불과하다면 문건유출이 중요한 의미가 없다"며 "이 내용이 사실이면 국정을 농단한 비선조직의 실체가 밝혀져야 하고 범죄행위가 있다면 제한을 두지 말고 성역 없이 수사가 이뤄져서 엄정한 처벌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홍문종 새누리당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해당 문건에 대해 조작 가능성을 제기하며 사실상 ‘찌라시’로 규정했다.
홍 의원은 조응천 전 비서관이 ‘(문건 내용이)60% 이상은 사실로 보인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 “사실로 보인다는 그 워딩을 굉장히 조심 해야 하는데, 사실로 보인다는 것은 본인이 들었거나 본인이 확실하게 알거나 아니면 본인이 자신 있게 증명할 수 있는 얘기가 아니다”라며 “찌라시의 내용이 사실로 보인다는 거고, 사실로 보인다는 것은 사실이 아닐 수 있다는 얘기를 전제로 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이어 “그분의 위치로 봐서 찌라시 문건에 대해서 확인하거나 증명할 수 있는 위치는 아니었다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홍 의원은 “그 찌라시라는 것 자체가 이미 오래전에 여의도 바닥에서 굴러다니던 얘기들이었고, 많은 분들이 그것을 확인해 봤는데 그 얘기 자체가 신빙성이 없어서 많은 유수한 언론사들이 이 문제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다루지 않았던 것”이라고 반박했다.
野, '정윤회 게이트'규정...朴대통령 사과·김기춘 사퇴 촉구
홍문종 "사실상 찌라시 문건” 일축
[시민일보=이영란 기자]검찰이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 실세 국정개입 의혹을 담은 청와대 문건유출 사건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으나 파문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을 기세다. 야당의 집중공세도 이어졌다.
3일 검찰에 따르면, 검찰은 전날 홍경식 전 청와대 민정수석과 조응천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을 출국금지 시켰다. 이는 지난달 30일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 파견 근무 당시 문건을 작성한 박관천 경정을 출국금지한 데 이은 조치다.
특히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임관혁)는 이날 오전 9시쯤부터 박 경정의 근무지인 서울 도봉경찰서 3층 정보과와 박 경정이 자료를 보관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서울경찰청 정보분실에 대한 압수수색에 착수했다.
오전 9시 50분 경부터는 서울시 도봉구 하계동에 있는 박 경정의 자택에서도 압수수색이 진행됐다. 검찰은 이날 박 경정이 사용중인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에서 작성했던 각종 문건 등을 다량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날 국회 비상대책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사과와 김기춘 비서실장의 사퇴를 촉구하는 등 총공세를 펼치고 있다.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비선실세 국정농단과 문건유출은 어느 것 하나 간과해선 안 되는 국기문란이자 중대한 범죄"라며 "(청와대) 스스로 작성한 문건을 루머라고 하고 언론보도를 문제라고 하는 것은 심각한 불통리더십을 증명한다"고 박근혜 대통령을 겨냥했다.
문 비대위원장은 "대통령은 바로 얼마 전까지만 해도 남북대화록 유출을 국민의 알 권리라고 하지 않았나. 청와대가 과거처럼 유야무야 넘기면 최대 위기에 봉착할 것"이라며 "결국 국회에서 사건을 다뤄야 한다. 상설특검 1호나 국정조사가 정답"이라고 주장했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대통령의 임기가 절반 넘게 남아 있는데 청와대 권력암투가 표면화되고 진실게임 양상으로 번지는 것은 불행"이라며 "정상적인 국정운영을 위해 의혹과 불신을 해소해야 한다. 김기춘 비서실장을 비롯한 관련자들의 국회 출석과 해명이 있어야 한다"고 국회 운영위 소집을 재차 촉구했다.
정세균 비대위원은 "정윤회 게이트의 실상이 뭔지 아직 예단하긴 이르다"면서도 "제왕적 인사, 무검증 인사가 내부 권력다툼의 부메랑으로 돌아온 게 정윤회 게이트다. 정부는 덮고 넘어갈 궁리 말고 (인사)시스템을 복원할 방법을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지원 비대위원도 "박스째 (청와대 문건이) 유출됐다는 건 안보문제"라며 "(기밀을 지켜야 할) 정상회담 대화록은 알 권리 차원에서 흘려내고 알아야 할 문건에 대해서는 숨기고 있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난했다.
문재인 비대위원은 "문건의 내용은 루머고 유출은 국기문란이라는 것인데 그래도 국기문란은 남이 한 것이 아니라 청와대 비서실에서 한 것"이라며 "그 사실만으로도 대통령은 당당할 수 없다. 국민에게 죄송스러워 하고 사과해야 마땅하다"고 지적했다.
인재근 비대위원은 특별감찰관제가 발효된 지 6개월째가 되도록 특별감찰관이 임명되지 않고 있는 데 대해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무능 때문이다. 자신들이 추천한 인사가 후보직을 고사하자 새로운 인물을 추천하지 못하고 시간을 허비하고 있다"며 특별감찰관 확대를 주장했다.
문병호 의원은 "새누리당은 늦어도 다음주 초까지 국회 운영위를 소집해야 한다"며 "김기춘 비서실장이나 '문고리 3인방'(이재만, 정호성, 안봉근)과 정윤회씨, 조응천 전 비서관, 박관천 전 행정관 등이 모두 국회에 나와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민석 의원은 "지난 7월초에 김진선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의 갑작스런 사퇴가 있었다. 올림픽을 앞두고 사퇴한 것은 의구심을 자아냈다"며 "김 위원장의 사퇴가 김기춘 비서실장과 정윤회씨 사이의 암투와 무관치 않다는 정황과 근거를 갖고 있다"고 새로운 의혹을 제기했다.
박주선 의원은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진실규명만이 조기에 국정을 안정시킬 수 있고 자칫 잘못하면 대통령의 레임덕까지 갈 수 있는 상황을 조기에 매듭을 지을 수 있을 것"이라며 특검과 국정조사를 촉구했다.
박 의원은 "대통령과 관련된 대통령을 보좌하는 참모로서의 문건을 작성하고 보고한 것이기 때문에 개연성을 넘어서 확실성이 없으면 문건을 작성해서 보고할 수가 없다"며 "청와대 행정관의 직무수행의 범위, 한계, 도덕성, 책임성과 비춰볼 때 허위사실이기보다는 진실"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문건의 내용이 청와대가 설명하는 대로 이것이 찌라시에 불과하다면 문건유출이 중요한 의미가 없다"며 "이 내용이 사실이면 국정을 농단한 비선조직의 실체가 밝혀져야 하고 범죄행위가 있다면 제한을 두지 말고 성역 없이 수사가 이뤄져서 엄정한 처벌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홍문종 새누리당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해당 문건에 대해 조작 가능성을 제기하며 사실상 ‘찌라시’로 규정했다.
홍 의원은 조응천 전 비서관이 ‘(문건 내용이)60% 이상은 사실로 보인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 “사실로 보인다는 그 워딩을 굉장히 조심 해야 하는데, 사실로 보인다는 것은 본인이 들었거나 본인이 확실하게 알거나 아니면 본인이 자신 있게 증명할 수 있는 얘기가 아니다”라며 “찌라시의 내용이 사실로 보인다는 거고, 사실로 보인다는 것은 사실이 아닐 수 있다는 얘기를 전제로 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이어 “그분의 위치로 봐서 찌라시 문건에 대해서 확인하거나 증명할 수 있는 위치는 아니었다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홍 의원은 “그 찌라시라는 것 자체가 이미 오래전에 여의도 바닥에서 굴러다니던 얘기들이었고, 많은 분들이 그것을 확인해 봤는데 그 얘기 자체가 신빙성이 없어서 많은 유수한 언론사들이 이 문제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다루지 않았던 것”이라고 반박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