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정윤회 문건’ 공방 이어가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4-12-16 16:56:19
김진태, “언론에 온 세상 휩쓸려 다니고 있어”
전해철, “靑, 인적쇄신 등 근원적 처방 내려야”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여야가 최근 실시되고 있는 국회 긴급현안질의를 통해 ‘정윤회 문건 유출’ 사건에 대한 치열한 공방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16일 오전 장외에서도 여야 정치권이 이를 두고 설전을 벌였다.
새누리당 김진태 의원은 이날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 사건은)주간지 등 흥미위주의 잡지 같은 것에 온 세상이 휩쓸려 다니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그동안은 야당에서 항상 이런 정치공세, 거짓선동을 많이 했는데 이번에는 사태가 달라진 게 언론이 가세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언론의 선정주의, 그렇게 믿고 싶은 사람들이 자꾸 그쪽으로 몰고 가려고 하는 것이 지금 큰 문제다. 이제 정신을 차려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새정치민주연합 박범계 의원이 공개한 '청와대 문서 유출 경위 보고서‘에 대해서는 “이렇게 유출이 됐는데도 왜 청와대가 이걸 제대로 처리하지 않았냐, 이런 취지인데 그걸 유출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는 사람들이 조응천, 박관천 이런 사람들”이라며 “그 책임 있는 사람들이 그렇게 따로 있는데 그걸 제대로 처리하지 않았느냐 하는 것은 두 번째 문제인데 이걸 가지고 도리어 문제 삼는 건 전후 앞뒤가 안 맞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파문의 중심에 있는 김기춘 비서실장과 이른바 청와대 3인방이 퇴진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일부 언론 사설을 꼼꼼히 봤는데 신문에 났으니까 책임지라는 것”이라며 “계속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고 지금 수사 중에 있는데 이렇게 많은 국민들이 우리 신문에서 쓴 말을 믿고 있기 때문에 수사 결과 나오기 전에 다 물러나야 되는 것 아니냐 하는 것인데 이건 아니지 않은가”라고 일축했다.
그는 “원하는 결과부터 갖다 들이밀고 나중에 절차는 어떻게 되든 상관없다는 식인데 도대체 우리가 언제부터 이런 마녀사냥에, 이런 미친바람에 휩쓸리고 있는가”라며 “이제라도 온 나라가 이성을 찾았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같은당 김태흠 의원도 이날 오전 CBS <박재홍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전날 실시된 국회 긴급현안질의에서 자신이 이번 사건을 ‘3인성호’라고 비유한 부분과 관련, “세 사람이 모이면 호랑이도 만들어 낸다는 뜻”이라며 “말로 근거 없는 거짓말도 여러 사람이 하면 믿게 된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 청와대 문건유출 이 부분을 보면 정보라든가 지라시, 풍문, 이런 부분들을 확인이나 아니면 확인과정 속에서 증거도 없이 작성된 걸로 드러나고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또 이런 문서가 만들어지고 이런 문서가 유출되면서 지금 마치 커다란 국정농단이 있었고, 권력개입이 있은 것처럼 자꾸 SNS상을 타고 루머, 유언비어로 변해 국가 전체가 혼란스럽고 시끄럽다”고 지적했다.
그는 “청와대에서 문서가 유출 됐다는 부분에서는 공직기강 해이라든가 이런 부분과 관련해서 반드시 비판을 받아야 하지만, 문서ㆍ문건 내용이 국정농단이라고 하고 비선의 권력개입이라고 야당에서 확인도 안 된 부분을 주장하는 것은 국민을 호도하는 것으로 문제가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야당이 특검을 주장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 부분이 지금 검찰 수사 결과를 보고 미진한 부분이 있으면, 그리고 국민들이 전체가 납득을 못할 때 특검을 해야 할 것”이라며 “또 이 사건이 터졌을 때 이 부분이 문건내용이 사실이냐 아니냐, 그래서 비선라인들이 권력개입을 하고 국정농단을 했느냐, 안 했느냐 이런 부분인데 거의 드러나지 않는 상황이다. 이런 부분들 가지고 미진하면 모를까 특검하자고 얘기하는데, 차분히 검찰 수사 결과를 지켜볼 때”라고 반박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박수현 의원은 “새누리당 의원들이 국민과 야당에게는 검찰 수사를 지켜보라고 말씀하셨는데, 김태흠 의원님께서 ‘3인성호’를 말씀하시면서 고양이를 호랑이로, 멸치를 고래로도 만든다는 표현을 하셨다”며 “고양이인지 호랑이인지, 멸치인지 고래인지 새누리당에서 이걸 어떻게 아는가”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날 CBS <박재홍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사건은 청와대내에서 소외됐거나 반감을 가진 내부 세력이 지라시 정보를 짜깁기해 정보를 만들고 유출시킨 단순 문서 유출 사건”이라며 “수사가 아직 나오지도 않았다. 그러면서 그런 것을 그쪽은 그렇게 단정을 하면서 우리보고 그냥 말하지 마라, 정쟁이라고 얘기하는 것은 잘못된 태도”라고 비난했다.
그는 ‘특검’ 필요성에 대해서는 “저희는 애초부터 검찰 수사를 지켜보자는 데 동의했지만 그것이 검찰 수사가 미진하거나 부실하다는 판단이 들 때라고 말씀을 드렸다”며 “어제(15일) 저희 당의 박주선 의원이 현안질문에서 특검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아직 진상조사단의 입장이나 당론으로 특검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같은당 전해철 의원은 이날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 이후 국정운영, 특히 인사 문제와 관련해서 투명하지 못하고 비선그룹의 어떤 관여가 있지 않느냐 라는 문제제기가 끊임없이 있었는데, 이제 그런 문제제기의 일단이 밝혀진 비선그룹의 실체가 무엇인가 라는 것에 대해 약간에 근거가 있는 내용이 밝혀졌다는 생각”이라고 주장했다.
참여정부 당시 민정수석을 역임했던 전 의원은 이번 문건에 대해 “공직기강비서실이나 민정수석실 산하 비서관실에서 많은 보고서를 작성하는데 그걸 찌라시에 나온 내용이라든지, 어떤 소문, 풍문을 가지고 그대로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은 거의 예가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 건과 관련해서도 어떤 모임이 있었다, 어떤 모임의 일시 장소가 나와 있다고 했을 때 그 일시장소에 그 사람들이 있었느냐, 없었느냐 라는 걸 가지고 문서의 진위를 확인해선 안 되고, 그런 경우 보고서를 작성할 때 어떤 모임이 있었다고 하면 적어도 그런 모임의 실체가 있냐, 없냐 라는 것이 주가 돼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런 면에서 기본적으로 청와대 보고서에 신빙성은 어느 정도 있다고 보고, 그 신빙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좀 더 넓은 의미로 아주 구체적인 것이 아니라 넓은 의미로 이렇게 보고서 내용을 확인해야 만 문건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 모 경위의 자살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자살에 이를 때 당사자의 경우 진실된 이야기를 하는 게 통례인데 그런 면에서 최 경위가 자살하면서 그 유서에 민정비서관실에서 했던 이야기들을 구체적으로 이야기하고 또 굉장히 힘든 경위를 이야기했다면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어제(15일) 모 방송사에서 한 경위의 진술이 민정수석실 관계자를 만났고 상당한 회유가 있었다는 보도가 나왔는데 좀 더 확인이 필요하지만 만약 한 모 경위의 말이 사실이라고 하면 이것은 청와대가 아주 부적절하고 중대한 위법 부당한 행위를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좀 더 나아가면 최 모 경위의 죽음 역시도 이런 회유와 압박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런 면에서 방송보도에 나왔던 한 경위의 진술이나 이런 부분은 당연히 수사를 해야 하고 이 수사가 미진하다고 하면 지금 야당에서 얘기하고 있지만 국정조사, 또 특검을 해야 될 중요한 근거가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해철, “靑, 인적쇄신 등 근원적 처방 내려야”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여야가 최근 실시되고 있는 국회 긴급현안질의를 통해 ‘정윤회 문건 유출’ 사건에 대한 치열한 공방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16일 오전 장외에서도 여야 정치권이 이를 두고 설전을 벌였다.
새누리당 김진태 의원은 이날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 사건은)주간지 등 흥미위주의 잡지 같은 것에 온 세상이 휩쓸려 다니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그동안은 야당에서 항상 이런 정치공세, 거짓선동을 많이 했는데 이번에는 사태가 달라진 게 언론이 가세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언론의 선정주의, 그렇게 믿고 싶은 사람들이 자꾸 그쪽으로 몰고 가려고 하는 것이 지금 큰 문제다. 이제 정신을 차려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새정치민주연합 박범계 의원이 공개한 '청와대 문서 유출 경위 보고서‘에 대해서는 “이렇게 유출이 됐는데도 왜 청와대가 이걸 제대로 처리하지 않았냐, 이런 취지인데 그걸 유출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는 사람들이 조응천, 박관천 이런 사람들”이라며 “그 책임 있는 사람들이 그렇게 따로 있는데 그걸 제대로 처리하지 않았느냐 하는 것은 두 번째 문제인데 이걸 가지고 도리어 문제 삼는 건 전후 앞뒤가 안 맞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파문의 중심에 있는 김기춘 비서실장과 이른바 청와대 3인방이 퇴진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일부 언론 사설을 꼼꼼히 봤는데 신문에 났으니까 책임지라는 것”이라며 “계속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고 지금 수사 중에 있는데 이렇게 많은 국민들이 우리 신문에서 쓴 말을 믿고 있기 때문에 수사 결과 나오기 전에 다 물러나야 되는 것 아니냐 하는 것인데 이건 아니지 않은가”라고 일축했다.
그는 “원하는 결과부터 갖다 들이밀고 나중에 절차는 어떻게 되든 상관없다는 식인데 도대체 우리가 언제부터 이런 마녀사냥에, 이런 미친바람에 휩쓸리고 있는가”라며 “이제라도 온 나라가 이성을 찾았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같은당 김태흠 의원도 이날 오전 CBS <박재홍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전날 실시된 국회 긴급현안질의에서 자신이 이번 사건을 ‘3인성호’라고 비유한 부분과 관련, “세 사람이 모이면 호랑이도 만들어 낸다는 뜻”이라며 “말로 근거 없는 거짓말도 여러 사람이 하면 믿게 된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 청와대 문건유출 이 부분을 보면 정보라든가 지라시, 풍문, 이런 부분들을 확인이나 아니면 확인과정 속에서 증거도 없이 작성된 걸로 드러나고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또 이런 문서가 만들어지고 이런 문서가 유출되면서 지금 마치 커다란 국정농단이 있었고, 권력개입이 있은 것처럼 자꾸 SNS상을 타고 루머, 유언비어로 변해 국가 전체가 혼란스럽고 시끄럽다”고 지적했다.
그는 “청와대에서 문서가 유출 됐다는 부분에서는 공직기강 해이라든가 이런 부분과 관련해서 반드시 비판을 받아야 하지만, 문서ㆍ문건 내용이 국정농단이라고 하고 비선의 권력개입이라고 야당에서 확인도 안 된 부분을 주장하는 것은 국민을 호도하는 것으로 문제가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야당이 특검을 주장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 부분이 지금 검찰 수사 결과를 보고 미진한 부분이 있으면, 그리고 국민들이 전체가 납득을 못할 때 특검을 해야 할 것”이라며 “또 이 사건이 터졌을 때 이 부분이 문건내용이 사실이냐 아니냐, 그래서 비선라인들이 권력개입을 하고 국정농단을 했느냐, 안 했느냐 이런 부분인데 거의 드러나지 않는 상황이다. 이런 부분들 가지고 미진하면 모를까 특검하자고 얘기하는데, 차분히 검찰 수사 결과를 지켜볼 때”라고 반박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박수현 의원은 “새누리당 의원들이 국민과 야당에게는 검찰 수사를 지켜보라고 말씀하셨는데, 김태흠 의원님께서 ‘3인성호’를 말씀하시면서 고양이를 호랑이로, 멸치를 고래로도 만든다는 표현을 하셨다”며 “고양이인지 호랑이인지, 멸치인지 고래인지 새누리당에서 이걸 어떻게 아는가”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날 CBS <박재홍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사건은 청와대내에서 소외됐거나 반감을 가진 내부 세력이 지라시 정보를 짜깁기해 정보를 만들고 유출시킨 단순 문서 유출 사건”이라며 “수사가 아직 나오지도 않았다. 그러면서 그런 것을 그쪽은 그렇게 단정을 하면서 우리보고 그냥 말하지 마라, 정쟁이라고 얘기하는 것은 잘못된 태도”라고 비난했다.
그는 ‘특검’ 필요성에 대해서는 “저희는 애초부터 검찰 수사를 지켜보자는 데 동의했지만 그것이 검찰 수사가 미진하거나 부실하다는 판단이 들 때라고 말씀을 드렸다”며 “어제(15일) 저희 당의 박주선 의원이 현안질문에서 특검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아직 진상조사단의 입장이나 당론으로 특검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같은당 전해철 의원은 이날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 이후 국정운영, 특히 인사 문제와 관련해서 투명하지 못하고 비선그룹의 어떤 관여가 있지 않느냐 라는 문제제기가 끊임없이 있었는데, 이제 그런 문제제기의 일단이 밝혀진 비선그룹의 실체가 무엇인가 라는 것에 대해 약간에 근거가 있는 내용이 밝혀졌다는 생각”이라고 주장했다.
참여정부 당시 민정수석을 역임했던 전 의원은 이번 문건에 대해 “공직기강비서실이나 민정수석실 산하 비서관실에서 많은 보고서를 작성하는데 그걸 찌라시에 나온 내용이라든지, 어떤 소문, 풍문을 가지고 그대로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은 거의 예가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 건과 관련해서도 어떤 모임이 있었다, 어떤 모임의 일시 장소가 나와 있다고 했을 때 그 일시장소에 그 사람들이 있었느냐, 없었느냐 라는 걸 가지고 문서의 진위를 확인해선 안 되고, 그런 경우 보고서를 작성할 때 어떤 모임이 있었다고 하면 적어도 그런 모임의 실체가 있냐, 없냐 라는 것이 주가 돼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런 면에서 기본적으로 청와대 보고서에 신빙성은 어느 정도 있다고 보고, 그 신빙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좀 더 넓은 의미로 아주 구체적인 것이 아니라 넓은 의미로 이렇게 보고서 내용을 확인해야 만 문건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 모 경위의 자살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자살에 이를 때 당사자의 경우 진실된 이야기를 하는 게 통례인데 그런 면에서 최 경위가 자살하면서 그 유서에 민정비서관실에서 했던 이야기들을 구체적으로 이야기하고 또 굉장히 힘든 경위를 이야기했다면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어제(15일) 모 방송사에서 한 경위의 진술이 민정수석실 관계자를 만났고 상당한 회유가 있었다는 보도가 나왔는데 좀 더 확인이 필요하지만 만약 한 모 경위의 말이 사실이라고 하면 이것은 청와대가 아주 부적절하고 중대한 위법 부당한 행위를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좀 더 나아가면 최 모 경위의 죽음 역시도 이런 회유와 압박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런 면에서 방송보도에 나왔던 한 경위의 진술이나 이런 부분은 당연히 수사를 해야 하고 이 수사가 미진하다고 하면 지금 야당에서 얘기하고 있지만 국정조사, 또 특검을 해야 될 중요한 근거가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