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체제, 순항이냐 난항이냐

多野 4.29 보선 묘책 없어...친노해체- 탕평인사 가능성도 미지수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5-02-09 10:49:29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치열한 경쟁을 뚫고 당권을 잡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신임 대표 체제의 순항 여부에 정치권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선 당장 눈앞에 닥친 4·29보궐선거가 쉽지 않다는 전망이다.

헌법재판소 판결로 강제해산된 옛 통합진보당 소속 국회의원의 지역구였던 서울 관악을, 광주 서구을, 경기 성남 중원 등 세 곳의 선거구는 야권 성향이 강한 곳으로 지난 총선 당시 야권연대로 승리를 일궈낸 곳이다.

이에 따라 야당 승리에 대한 기대치가 높은 편이지만 야권난립이 가시화된 현재 상황에서는 2곳 승리도 장담하기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실제 옛 진보당 소속 김미희, 이상규 전 의원이 재출마 의지를 밝혔고 신당창당을 추진 중인 국민모임도 독자후보를 낸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정의당도 가세하고 나서는 등 야권 후보 난립이 예상된다.

이에 대해 이강윤 평론가는 “옛 진보당 의원들의 당선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최소한 10% 정도는 얻을 것”이라며 “야권분열 양상 속에 새누리당이 어부지리할 가능성이 최소한 한 곳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천정배 전 장관이 탈당해서 국민모임 신당후보로 야당 텃밭인 광주 서을에 출마할 경우 이마저도 새정치연합 후보의 승리를 장담하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다.

실제 천 전장관은 지난 5일 국민모임이 주최한 토론회에서 "야당 정치가 낯이 두꺼워졌다. 후안무치하다는 생각을 할 때가 많다"며 새정치연합을 향한 비판의 강도를 높이면서 탈당가능성에 힘을 실었다는 관측이다.

이와 관련, 최창렬 용인대 교수는 "천 전 장관 탈당이 문 대표에게 엄청난 타격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문 대표가 친노를 해체하고 탕평인사를 실시할지도 관전포인트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문 대표가 취임 후 가장 먼저 풀어야 할 과제는 계파갈등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며 “이미 전당대회 과정에서 박지원 후보와의 극한 대립 상황에서 '친노의 수장'과 함께 딱지로 붙은 '친노당'이란 이미지를 불식시키고, 당내 골이 깊어질 대로 깊어진 친노 대 비노 간 불신과 대립을 타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문 대표가 실제 '친노'로부터 독립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현재 당내에 포진 중인 친노 성향 인사들은 새정치연합 전신인 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 체제 당시 2012년 총선에서 계파공천 비난을 무릅쓴 공천을 통해 국회에 대거 입성했다.

그 해 대선을 앞둔 원내대표 선거에서는 이해찬·박지원 의원 간 '이박담합'이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이번 경선과정에서도 여지없이 '친노문제'가 불거졌다.

박지원 후보 측은 김경협 의원이 일부 구청장들과 간담회를 갖고, 노영민 의원은 지역 대의원들에게 특정후보 지지문자를 돌렸다며 '친노' 의원들의 불법 선거운동을 문제 삼고 나섰다.

특히 문 대표의 이번 선거운동 과정에서도 참여정부시절 함께 활동했던 인사들이 핵심적 역할을 했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당 안팎에서 친노에 대한 경계심은 상당하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문재인 대표가 탕평인사를 하려고 노력은 하겠지만 결국 친노 계파주의를 뚫고 이뤄낼 수 있는 지가 관건"이라며 "그 문제만 넘어서면 대권주자로서 위상은 확고해질 것인데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