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포라인, 정준양씨 포스코 회장으로 임명, 불법적 행위”

김용진 교수, “박영준 전 차관 관련 있는 성진지오텍 비정상적 인수 등”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5-03-17 15:56:12

[시민일보=전용혁 기자]포스코 전ㆍ현직 경영진이 비자금 조성 의혹에 연루되면서 검찰이 전방위적인 수사에 돌입한 가운데 과거 정권 실세들의 이권 개입 등 비리 의혹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포스코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태와 관련, 그동안 쭉 문제제기를 해왔던 김용진 서강대 교수는 17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영포라인이라 불리는 MB측근 실세들이 정준양씨를 포스코 회장으로 임명했는데 자본주의 국가에서는 사실 하면 안 되는 불법적 행위”라고 지적했다.

그는 “포스코는 정부 지분이 하나도 없는 민간기업으로 정부가 인사에 개입하면 안 된다”며 “이런 상황에서 예컨대 포스코 하청업체였던 제이엔테크라는 게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이 비자금 관리인으로 사용했던 이동조씨가 운영했다고 나와 있고, 여기서 이 회사에 일감을 몰아준다거나 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박영준 전 차관과 관련있다고 하는 성진지오텍을 인수하는데 굉장히 비정상적으로 거의 두 배 가격을 주고 거의 망하는 회사를 인수를 했다든지, MB정권이 추진한 아프리카 세계 자원외교 창구로 이용했던 대우인터내셔널을 상대측보다 약 2000억원 이상 주고 산 것, 그리고 포스코P&S 같은 경우 1300억원대의 탈세의혹 등 이런 것들을 봤을 때 상식적으로 납득이 안 되는 것”이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기업이 독립적이고 공정한 지배구조를 만들어서 정말 스스로를 운영해보겠다는 의지가 있을 것인가 하는 부분인데 지배구조의 문제가 굉장히 중요한 이슈가 될 것”이라며 “실제로 정부 입장에서는 자신이 권한을 갖고 있지 않으니까 만약 기업에 무리하게 CEO를 추천하고 누군가 자기가 원하는 사람을 임명하고자 했을 때 결국 주주 권한이 무력화 되고 시장이 왜곡 되는 것인데 그럴 경우 처벌할 수 있는 조항들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기업 입장에서는 독립적이고 공정한 지배구조가 만들어져야 하고 후계자를 기를 수 있는 구조, 특히 포스코처럼 전문경영을 해야 하는 경우는 이런 구조가 굉장히 중요하다”며 “당시에만 해도 윤석만 회장이 박태준 회장의 후임자라고 인정됐었던 상황이었는데 정준양 회장으로 바꾼 것이다. 박영준 차관이 바꿨다고 당시 민주당 우제창 전 의원이 얘기한 바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정준양 회장은 자사주매입이라든지 처남 회사 납품이라든지 의혹을 받고 있었고 도덕적으로 결함이 있다고 이미 얘기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자기들과 가까운 사람, 자기들 말을 잘 들을 사람을 선택했다고 밖에 볼 수가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