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력전이라도 민간인 희생은 막아야
남영진 한국감사협회 고문
남영진
| 2015-03-25 17:09:13
이 시르테지역이 리비아정부군의 힘이 약화되면서 이슬람국가(IS)의 영향권에 들었다. 지난번 동영상에서 콥트교도들을 살해한 해안이 바로 시르테다.
IS군은 권력공백이 생기면 바로 치고 들어간다. IS는 이 지역 혁명의 시원지인 튀니지의 호텔에 폭탄을 터트려 일본인 관광객 2명을 포함해 14명의 사상자를 냈다. IS군은 이라크북부 시리아남부 터키의 동부에서 세력을 키운 뒤 예멘의 내전을 거쳐 리비아북부에서 콥트교도들을 살해하고 튀니지에서 호텔테러를 자행하면서 자신들이 지난4년간 서방의 기독교문명이 타락시킨 지역을 다시 정화하겠다는 의지를 대외에 선포한 것이다. 10년전 뉴욕을 강타한 9.11테러의 알카에다보다 더 엄청난 규모다. 빈 라덴이 이끌던 알카에다는 테러조직이라면 이 IS는 뚜렷한 지도자가 없이 초기 이슬람국가의 칼리프통치를 닮았다. 군사조직만 있는 신정정치라는 것이다. 그런데도 국가의 위용을 자랑한다.
IS의 특이한 점은 주권 없이 국가를 선포했다는 점이다. 흔히 국가의 3요소는 인구, 영토, 주권이라고 한다. 2차대전 때 런던서 꾸린 드골의 프랑스 망명정부는 연합국에 의해 주권이 인정되고 지지하는 국민은 있는데 통치권인 주권만 잃은 경우다. 일제 때의 상해임시정부도 마찬가지다. 이스라엘이 점령한 가자지구와 요르단 강 서안을 영토로 독립을 선포한 팔레스타인정부는 인구와 영토는 있는데 이스라엘로부터 주권을 인정받지 못해 계속 싸움을 하고 있다. 지금 태풍의 핵이 되고 있는 IS도 주권을 인정받지 못한 국가(?)다. 자신들이 자칭 ISLAMIC STATE(이슬람국가)라고 해서 서방에서 그대로 불러줄 뿐 이를 국가라고 해야 할지 논란이다. 우리나라도 정부에서는 IS라고 공식적으로 쓰지는 않는다. 점령한 영토와 자신들을 지지하는 무슬림인구와 해외에서 계속 모여드는 군인들은 있는데 국제적으로 주권은 인정받지 못했다. 보통 국가는 지역적 특성을 따서 국가명을 정하는데 IS는 종교를 따서 ISLAM 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기독교국가, 불교국가, 유교국가와 비슷한 경우다.
문제는 민간인 희생자다. 너무 많은 이 지역사람들이 죽어가고 있다. 종교가 다르다는 이유도 있고 종족이 다르다는 이유도 있다. 이 지역 쿠르트족은 영토가 없다는 이유로 1차대전이후 유랑생활을 한다. 이 쿠르드족이 미군과 손잡고 IS의 거점인 모술을 공략한다고 하자 IS군이 화학가스를 사용한다고 으름장이다.
90년대초 이란 이라크전서 가스탄사용이 문제가 된 적이 있지만 화학전은 1차대전 독불간 국경에서 사린가스가 사용한뒤 금지된 무기다. 현대전은 총력전이어서 전투요원과 민간인 구별이 없다. 사상 처음 총력전을 펼쳤던 몽골족이 13세기 서진하면서 중앙아시아 중동 유럽에서 4천만명을 죽였다. 지금 인구로 하면 2억7천여만명이란다. 현대 정규전인 2차대전때 5천5백만명이 희생됐다. 민간인까지 죽인 몽골전쟁이 5배이상의 희생자를 더 냈다. 지금 중동의 IS군과 벌이는 전쟁이 거의 총력전이다. 영토도 불분명하고 통치인구도 확실치 않아 군인과 민간인 구별도 잘 안된다. 여기에 미국이 미군지상군 희생을 우려해 무인폭격기 드론을 많이 쓰니 오폭으로 민간인희생자가 더 늘어난다. 전쟁이 본격화해 IS군이 가스라도 살포하면 민간인은 물론 생물체가 다 죽는 폐허가 된다. 끔찍한 시나리오다. 전쟁자체가 악이지만 제발 전쟁은 군인들만의 싸움으로 끝내야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