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남, “여야, 자원외교 국조특위 활동기간 25일 연장해야”
“연장 가능한데도 구체적인 협의과정 들어가 있지 않아”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5-03-30 16:12:03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해외자원개발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가 청문회도 열지 못한 채 활동을 마무리 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특위 여야 간사는 에너지 공기업 3사를 대상으로 총 세 차례 청문회를 열고 활동 마감일인 7일에는 종합 청문회를 열기로 합의했지만 증인 채택 문제를 두고 부딪치면서 최종 합의를 이루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특위 소속인 정의당 김제남 의원은 30일 오전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여야 합의로 25일간 국조 연장에 합의를 하고 청문회 증인출석에 반드시 합의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지금 여야 합의로 (특위 활동)25일 연장이 가능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구체적인 협의과정에 들어가 있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난 여야 원내대표 간 주례회동에서도 국정조사 관련해서는 최대한,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하고 있는데 당연히 이번주부터 열렸어야 할 청문회가 들어가고 있지 않다”며 “여야 대표는 반드시 주례회동을 통해 청문회 일정 연장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이어 그는 “자원외교 과정에서 사적이익을 도모한 비리 의혹이 최근 드러나고 있기 때문에 이명박정부 자원외교는 최근 이완구 총리도 밝힌 것처럼 근절돼야 할 부정부패 대상이 된 것은 분명해졌다”며 “결국 검찰수사에 이르기까지 됐다고 보고 있고, 결국 철저한 국정조사, 청문회가 제대로 열려야 하고 더불어 검찰수사도 병행돼야 할 이유”라고 강조했다.
그는 참여정부의 자원외교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새누리당이 이명박정부의 부실한 책임을 드러내는 게 두려운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자원빈국인 우리나라의 해외자원개발 사업은 역사적으로 모든 정권에서 해온 일이지만 이명박정부 때 벌인 자원외교는 비정상이었다”며 “국민의 장기적인 에너지 안보라는 것이 자원개발의 공익적 목적인데 그것이 아니라 정권의 이익과 단기성과를 위해 묻지마 투자에 국가의 자원이 총 동원됐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명박정부 시절에 벌였던 자원외교의 실패한 교훈을 바로 잡아야만 대한민국의 에너지 안보 미래,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자원수급정책을 제대로 마련할 수 있는데 이를 자꾸 이명박정부의 자원외교의 본질이 아니라 노무현정부 대 이명박정부라고 하는 정쟁으로 몰아가는 새누리당의 저의가 무엇인가”라며 “국민들에게 반성문을 써야 할 것”이라고 질타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