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vs. 손학규

고하승

| 2015-05-07 15:36:29

편집국장 고하승


요즘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 손학규 전 새정치연합 상임고문을 비교하는 소리가 자주 들린다. 둘의 정치행보는 달라도 너무나 다르다.

손학규 전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은 지난 해 7.30 재보선 당시 당 지도부의 간곡한 요청을 차마 거절하지 못하고 ‘새누리당 텃밭’에 나섰다가 패하자 “내 책임”이라면서 정계은퇴를 선언했다. 그리고 지금은 전남 강진의 다산초당 인근 백련사 뒷산 토굴에 둥지를 틀고 조용히 자연을 벗 삼아 살고 있다.
반면 문재인 대표는 도저히 질래야 질 수 없는 4.29 재보선에서 '전패'(全敗)를 당한 이후에도 반성하며 고개 숙이기보다는 되레 목소리를 더욱 키우고 있다.

당내 일각에서 제기되는 ‘책임론’에 대해선 “길게 보면서 더 크게 개혁하고 더 크게 통합하겠다. 더 강하고 더 유능한 정당으로 혁신해서 국민의 바람을 지키겠다”는 말로 일축하고 말았다.

그리고 문 대표는 지금 청와대와 여당을 향한 공세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아마도 4.29재보선 참패에 따른 ‘문재인 책임론’을 잠재우기 위한 승부수일 것이다. 하지만 문 대표의 '강경 드라이브'로 인해 4월국회는 결국 ‘빈손 국회’, ‘허송 국회’라는 비난을 받게 됐다.

실제 문 대표는 전날 최고위원회에서 비난여론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국민연금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소득대체율을 50%로 올리는 것은 사회적 대타협의 핵심 중 핵심”이라며 ‘명목소득대체율 50%로 인상’을 개혁안에 담아야 한다는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았다.
그는 또 세월호 시행령을 국무회의에서 통과시킨 것에 대해서도 비공개 의총에서 “야당이, 민주주의가, 국회가 무시당한 상황”이라며 강경입장을 보였는가하면, 전날 밤 비상 최고위원회에선 투쟁을 위한 의원 비상 대기 체제를 유지하도록 했다. 사실상 ‘박근혜 정부와의 전면전’을 선언한 셈이다.

과연 이런 선택이 문 대표에게 득이 될 수 있을까?

물론 강경한 대여전선이 형성됨에 따라 당내에 잠복해 있던 ‘문재인 책임론’을 더 이상 꺼내기 어렵게 됐다는 측면에서 보자면 개인적으로는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대표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에 따른 후유증은 만만치 않을 것이다.

선거에서 승리하려면 보수 정당이든 진보 정당이든 중도 층을 많이 끌어 와야 하는데, 중도 층이 강경 이미지를 가진 쪽을 지지할 가능성은 희박하기 때문이다.

지난 대선에서 야당이 패배한 원인 역시 지나친 ‘좌큭릭’때문이었다는 평가보고서가 나온 바 있다. 결국 문 대표의 선택이 자신의 대표직 유지에는 도움이 되지만 내년 총선을 앞둔 당의 입장에서 보자면 ‘최악’인 셈이다.

당내 비노-중도 세력 모임인 ‘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황주홍 의원도 “다수 국민의 여론보다 저희가 더 강경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무슨 일만 터지면 모든 걸 청와대와 박근혜 대통령을 원색적으로 직공, 직접 공격하는 것, 이것이 우리는 속 시원하고 열렬한 우리 지지층에게는 카타르시스를 주고 만족감을 드릴지 모르지만 결국에 선거는 다수 국민들을 얼마나 더 설득하고 지지를 확보하느냐의 문제인데 다수 국민들은 그런 것에 대해서 별로 호응하지 않고 그런 것에 대해서 오히려 염증을 느낀다”고 지적한 것은 이 때문이다.

그런 문재인 대표 때문에 손학규 전 고문에 대한 국민의 그리움이 더욱 커져 가고 있다.

우선 <한국갤럽> 여론조사 결과 7.30재보궐선거 낙선자 중 가장 아쉬운 인물로 손학규 전 상임고문이 압도적으로 꼽혔는가하면, 그의 일거수일투족이 언론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실제 그가 이달초 서울 종로구 구기동의 한 빌라에 전세를 얻어 이사를 마친 것으로 알려지자 곧 화제가 됐다. 가끔 경조사 등 볼 일을 보러 올라오면 머물 곳이 필요한데다 책 등 짐이 많아 별도의 공간이 필요해 이사를 했다고 한다.

그런데 각 언론이 이런 사실을 일제히 보도했다. 손 전 고문이 지난달 25일 측근들의 결혼식 참석차 서울을 찾았을 때도 각 언론이 이 사실을 대서특필한 바 있다.

그의 움직임은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관심사가 되고 있는 것이다. 거기에는 문재인 대표에 실망한 야당 지지자들이 손 전 고문의 정계복귀를 간절히 염원하는 뜻이 담겨 있는지도 모르겠다. 물론 그는 손사래다. 현실정치는 완전히 떠났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그는 '서울에 종종 올 것이냐'는 어느 기자의 질문에 "뭐 나올 일이 있나"라며 "나야 뭐 자연과 같이 살고 있다. 바깥소식은 모른다"고 답한 바 있다. 그런 것을 보면 아무래도 그가 당분간 강진 흙집을 떠나는 일은 없을 것 같다. 하지만 국민의 바람이 뜨겁다면, 그도 마음을 되돌릴 수 있지 않을까?

어쩌면 “우리에게 약속하신 ‘저녁이 있는 삶’을 혼자 즐기셔야 되느냐”는 국민들의 항변(?)이 그의 마음을 움직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다. 너무 순진한 생각일까?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