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간부 1차 검사 '메르스 양성' 판정

여영준 기자

yyj@siminilbo.co.kr | 2015-06-04 17:50:49

보건당국 "최종 검사서 양성→음성 바뀌는 경우 상당히 많아"

[시민일보=여영준 기자]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의심자로 분류된 공군 간부와 대전에서 숨진 메르스 3차 감염 의심자에 대한 최종 확진 여부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이들이 메르스 감염자로 확진될 경우 군 내 첫 감염자와 첫 3차 감염자 사망이기 때문이다.

4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오산 공군기지 소속 A원사 1명은 최근 국군수도병원에 격리됐으며, 군 병원의 1차 검사에서 메르스 양성 판정을 받았다.

앞서 다리를 다쳐 A원사는 첫 확진자가 입원했던 경기도의 한 민간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전력이 있는 상태다.

따라서 A원사가 최종적으로 메르스 양성 판정을 받으면 군 내 첫 메르스 감염 사례가 된다.

대전지역내 한 대학병원에서 격리돼 치료를 받아오던 80대 남성 B씨는 지난 3일 오후 사망했다.

이 환자는 만성 신부전증을 앓던 중 16번째 확진자(40·남)와 같은 병실에 입원한 전력으로 인해 지난달 30일 메르스 의심 환자로 분류됐기 때문이다.

이 남성은 지난 2일 메르스 음성 판정을 받았지만 병원측이 다시 한번 감염 여부를 의뢰했고 질병관리본부의 정밀검사가 나오기 전 사망했다. 전날 채취한 검채를 토대로 한 2차 검사에서는 양성 반응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따라 B씨가 보건당국의 최종 검사에서도 양성 판정을 받게 될 경우 3차 감염 첫 사망자가 나오는 셈이다.

권준욱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기획총괄반장은 4일 정례브리핑에서 "(메르스 감염 의심자에 대한)일선의 검사가 양성으로 나왔다고 하더라도 최종 검사에서 음성으로 바뀌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며 "국립보건연구원의 검사가 최종적인 것(결과)이며, 그 결과에 따라 조취를 취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좀 자신하기 어려운, 즉 약한 양성이거나 검사 과정에서 오염 등으로 확실치 않다고 (판단되면)재검사 또는 반복 검사가 들어가다보니 시간이 늦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