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합동평가단 "지역사회 전파 가능성 모니터링 필요"
여영준 기자
yyj@siminilbo.co.kr | 2015-06-14 16:38:25
"한국 정부, 완전 종결때까지 경계 유지해야"
[시민일보=여영준 기자]한국과 세계보건기구(WHO) 합동평가단이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과 관련해 “지역사회 전파가 진행되고 있지는 않지만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WHO 합동평가단 케이지 후쿠다 사무차장은 지난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합동 조사 결과 발표에서 "현재 시점에서 지역사회 전파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은 없다고 판단했다"며 "다만 메르스 유행이 진행되는 동안 그러한 가능성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지난 8일 입국한 WHO측 조사단이 9일부터 5일간 국내 메르스 전파 원인과 양상 등을 국내 전문가들과 함께한 조사결과에 따른 발표다.
합동조사단은 이번 조사를 통해 국내 메르스의 역학적인 양상은 중동지역의 병원에서 발생했었던 메르스의 유행과 다르지 않다고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후쿠다 사무차장은 국내 유입 바이러스의 변종 가능성에 대해 "현재 가용한 정보에 기반해 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메르스 바이러스가 전염성이 더 강한 바이러스로 변이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메르스 확산과 관련해 "환경오염이나 열악한 환기시설, 또는 기타 다른 요인들이 이번 메르스 유행에서 바이러스 전파에 유행을 미쳤는가의 여부는 확정적으로 판단을 할 수는 없었다"고 말했다.
후쿠다 사무차장은 "이번 메르스 발병 규모가 크고 양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환자 발생은 아마 예상을 해야 할 것"이라며 "한국 정부는 본 상황이 완전히 종결될 때까지 경계태세를 유지해야 하고 강화된 질병통제, 감시 예방조치를 유지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유행이 대규모이고 복잡한 상황이므로 조치가 완전한 효과를 발휘하는데 수주가 걸릴 것"이라며 "단기간에 해결될 것을 예상하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한국 측 대표인 이종구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는 "비록 초기 대응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현재 증가하던 환자 추세가 주춤하거나 꺾이는 양상으로 방역조치가 어느 정도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평가됐다"면서도 "완전히 종료됐음을 선언하기는 이르고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고 전망했다.
[시민일보=여영준 기자]한국과 세계보건기구(WHO) 합동평가단이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과 관련해 “지역사회 전파가 진행되고 있지는 않지만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WHO 합동평가단 케이지 후쿠다 사무차장은 지난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합동 조사 결과 발표에서 "현재 시점에서 지역사회 전파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은 없다고 판단했다"며 "다만 메르스 유행이 진행되는 동안 그러한 가능성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지난 8일 입국한 WHO측 조사단이 9일부터 5일간 국내 메르스 전파 원인과 양상 등을 국내 전문가들과 함께한 조사결과에 따른 발표다.
합동조사단은 이번 조사를 통해 국내 메르스의 역학적인 양상은 중동지역의 병원에서 발생했었던 메르스의 유행과 다르지 않다고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후쿠다 사무차장은 국내 유입 바이러스의 변종 가능성에 대해 "현재 가용한 정보에 기반해 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메르스 바이러스가 전염성이 더 강한 바이러스로 변이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메르스 확산과 관련해 "환경오염이나 열악한 환기시설, 또는 기타 다른 요인들이 이번 메르스 유행에서 바이러스 전파에 유행을 미쳤는가의 여부는 확정적으로 판단을 할 수는 없었다"고 말했다.
후쿠다 사무차장은 "이번 메르스 발병 규모가 크고 양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환자 발생은 아마 예상을 해야 할 것"이라며 "한국 정부는 본 상황이 완전히 종결될 때까지 경계태세를 유지해야 하고 강화된 질병통제, 감시 예방조치를 유지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유행이 대규모이고 복잡한 상황이므로 조치가 완전한 효과를 발휘하는데 수주가 걸릴 것"이라며 "단기간에 해결될 것을 예상하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한국 측 대표인 이종구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는 "비록 초기 대응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현재 증가하던 환자 추세가 주춤하거나 꺾이는 양상으로 방역조치가 어느 정도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평가됐다"면서도 "완전히 종료됐음을 선언하기는 이르고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고 전망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