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용, “중앙정부, 지방을 국정의 동반자로 인식해야”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5-06-30 17:21:21
“중앙집중화 심각, 지방은 영양실조, 국가적 재앙으로 발전할 것”
[시민일보=전용혁 기자]김관용 경북도지사가 30일 ”중앙정부에서 지방을 국정의 동반자로 인식하는 가치적 판단이 우선돼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김 도지사는 이날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나라의 지방자치제도와 관련, 이같이 말하면서 “(중앙정부로부터)많은 도움도 받고 있지만 저희들이 워낙 어렵다”며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 얘기를 안 할 수가 없는 것”이라고 털어놨다.
그는 “지금 우리가 수도권의 가치로 획일화 돼서 언론도 그렇고 정치도 너무 중앙집중화가 돼 있다”며 “나중에 비만이 되고 지방은 영양실조가 되니까 국가적 재앙으로 발전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조기에 끊을 것은 끊고 또 하지 말아야 할 것은 하지 말아야 한다. 그런 것들이 과단성 있게 조치가 됐으면 하는 것”이라며 “균형발전은 헌법사회 규정이기도 하기 때문에 저희들은 지방투자를 하는데 지원을 많이 해주고, 꼭 중앙이 해야 할 것은 하고 지방이 해서 될 것은 정책적으로 배려를 해주셔서 전국이 고루 신성장동력을 발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그는 자구책을 묻는 질문에는 “지방도 많은 노력을 해야 하는데 지방도 자체 세원 발굴도 하고 경비도 축소하고 불필요한 행사도 줄이고 해야 할 것”이라며 “중앙도 내핍생활을 좀 하고 제도적으로 도저히 해도 안 되는 수도권으로 빨려내는 블랙홀로 되는 부분은 장치로 막아주셔야 한다. 결국 지방이 잘 살아야 나라가 잘 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재정 문제에 대해서도 “지방세도 취득세도 늘고 있는데 구조가 잘못 돼 있다. 수입측에서 보면 국세가 80%, 지방세가 20%인데 실제로 지출 측면에서 보면 지방이 부담이 더 크게 돼 있다”며 “이런 것들은 무상교육, 기초연금 등 사회복지비 지출이 확대되면서 복지국가의 선언과 더불어 부담이 컸는데 그 부담에 대해 지방이 보다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방세 비율을 조정해야 하는데 중앙의 지원은 지방소비세 비율을 부가가치세 11%에서 16%로 올려줘야 한다고 계속 주장하고 있다. 또 지방교부세가 내구세 19.24%인데 21%로 확대해달라고 하면서 계속 중앙정부와 교감하고 있고, 점진적으로 나아지고 있다”며 “특히 지출은 복지ㆍ안전 분야는 전액 국가부담으로 하는 게 맞다고 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시민일보=전용혁 기자]김관용 경북도지사가 30일 ”중앙정부에서 지방을 국정의 동반자로 인식하는 가치적 판단이 우선돼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김 도지사는 이날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나라의 지방자치제도와 관련, 이같이 말하면서 “(중앙정부로부터)많은 도움도 받고 있지만 저희들이 워낙 어렵다”며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 얘기를 안 할 수가 없는 것”이라고 털어놨다.
그는 “지금 우리가 수도권의 가치로 획일화 돼서 언론도 그렇고 정치도 너무 중앙집중화가 돼 있다”며 “나중에 비만이 되고 지방은 영양실조가 되니까 국가적 재앙으로 발전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자구책을 묻는 질문에는 “지방도 많은 노력을 해야 하는데 지방도 자체 세원 발굴도 하고 경비도 축소하고 불필요한 행사도 줄이고 해야 할 것”이라며 “중앙도 내핍생활을 좀 하고 제도적으로 도저히 해도 안 되는 수도권으로 빨려내는 블랙홀로 되는 부분은 장치로 막아주셔야 한다. 결국 지방이 잘 살아야 나라가 잘 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재정 문제에 대해서도 “지방세도 취득세도 늘고 있는데 구조가 잘못 돼 있다. 수입측에서 보면 국세가 80%, 지방세가 20%인데 실제로 지출 측면에서 보면 지방이 부담이 더 크게 돼 있다”며 “이런 것들은 무상교육, 기초연금 등 사회복지비 지출이 확대되면서 복지국가의 선언과 더불어 부담이 컸는데 그 부담에 대해 지방이 보다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방세 비율을 조정해야 하는데 중앙의 지원은 지방소비세 비율을 부가가치세 11%에서 16%로 올려줘야 한다고 계속 주장하고 있다. 또 지방교부세가 내구세 19.24%인데 21%로 확대해달라고 하면서 계속 중앙정부와 교감하고 있고, 점진적으로 나아지고 있다”며 “특히 지출은 복지ㆍ안전 분야는 전액 국가부담으로 하는 게 맞다고 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