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디지털재단은 서울산업진흥원·서울연구원과 주요 목적사업 겹쳐 설립타당선 없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5-07-09 17:36:09

최호정 서울시의원 강력 비판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서울시의회 최호정 의원(새누리당, 서초3)이 서울시의 무분별한 출자·출연기관 설립계획을 강하게 비판했다.

9일 최호정 의원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 2014년 9월 13개에 달하는 각종 재단의 설립을 추진하는 보고회의를 가진 이후 올 3월 평생교육진흥원설립을 시작으로 이를 구체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시는 최근 12개의 재단법인을 신규로 출연기관 형태로 설립할 것을 검토하고 있으며, 설립구체화(2개), 설립추진(3), 추가검토(5), 장기검토(2) 등으로 분류해 단계별로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서울디지털재단과 재단의 경우 출연기관 설립을 심의하는 출자·출연기관운영심의회 심의를 통과해 행자부 협의와 조례 제정 등의 절차만 남겨두고 있어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올해 연말쯤 재단법인 설립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이에 대해 최호정 의원은 “출연기관 설립 막바지 단계에 와 있는 서울디지털재단과 50+재단의 경우 서울시의 자체 비용편익(B/C) 결과가 0.9와 0.75에 불과해 경제성이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고 서울시 계획대로 재단설립이 강행될 경우 매년 막대한 재정지원이 필요한 세금 먹는 하마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며 “설립 후 5년 동안 2개 출연기관에 대한 서울시의 출연금 예상규모는 1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미 13개의 출자·출연기관에 연간 1600억원 이상의 출연금을 지원하는 상황에서 막대한 추가 출연은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서울시의 재정상황을 더 어렵게 만들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최호정 의원은 “디지털재단의 경우 서울산업진흥원이나 서울연구원의 주요 목적사업과 사업범위가 겹치는 등 서울시가 설립을 검토중인 재단법인 대부분이 기존에 서울시와 각 출자·출연기관과의 업무중복이 예상되는 등 사실상 설립타당성이 없다”며 “설립타당성도 없고, 경제성도 부족하며, 더욱이 시민의 동의도 얻지 못한 채 재단법인의 설립을 밀어붙이는 박원순 시장의 의도가 무엇이냐”고 따져 물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